소학 233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9

論語曰, 君召使擯, 色勃如也, 足躩如也. 논어왈 군소사빈 색발여야 족곽여야 논어에서 이르기를, 군왕이 사신을 접대하는 접반관을 시키자, 낯색은 변하는 것과 같이 하고, 발을 잘 옮겨놓지 못하는 것 같이 하였다. 揖所與立, 左右手, 衣前後, 襜如也. 읍소여립 좌우수 의전후 첨여야 함께 접반관이 되어 서있는 사람들에게 인쪽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왼손으로, 오른쪽에 있는 사람에게는 오른손으로 읍을 했건만 옷의 앞, 뒤는 가지런하여 흐트러지지 않았고 趨進, 翼如也. 賓退, 必復命曰, 賓不顧矣. 추진 익여야 빈퇴 필복명왈 빈불고의 빠른 걸음으로 아아갈 때는 새가 날개를 편 것 같았다. 손님이 물러가고 나면 반드시 복명하기를 뒤를 돌아보지 않았다 라고 하였다. (註1) 擯(물리칠 빈),勃(우쩍일어날 발), 躩(바삐갈..

소학 2023.08.20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8

曲禮曰, 凡爲君使者, 已受命, 君言不宿於家. 곡례왈 범위군사자 이수명 군언불숙어가 곡례에서 이르기를, 군왕의 사자가 된 사람이 이미 임금의 명을 받았으면, 임금의 말씀을 집에서 하룻 밤도 재우지 않아야 하고, 君言至, 則主人出拜君言之辱, 군언지 즉주인출배군언지욕 임금의 명령이 도달하면 주인이 문밖에 나가 절하여 임금의 명령을 받고, 使者, 歸, 則必拜送于門外. 사자 귀 즉필배송우문외 사자가 돌아가면 즉 반드시 문 밖에 나가서 절하여 전송한다. 若使人於君所, 則必朝服而命之, 약사인어군소 즉필조복이명지 만약 임금이 있는 곳에 사람을 심부름 보낼 때는 반드시 조복을 갖추고서 명령하고 使者, 反, 則必下堂而受命. 사자 반 즉필하당이수명 사자가 돌아오면 반드시 당하로 내려가 임금의 명령을 받아야 한다 라고 하였다..

소학 2023.08.19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7

禮記曰, 將適公所, 宿齊戒, 居外寢, 沐浴, 예기왈 장적공소 숙재계 거외침 목욕 예기에서 이르기를, 장차 임금이 계신 곳에 갈 때는 몸가짐을 재계하여 삼가하고, 바깥 침실에서 잔 다음 목욕하고, 史進象笏, 書思對命. 사진상홀 서사대명 사자가 상아 홀을 올리면 임금께 진언하리라 생각한 것과 명에 대답할 것을 적어, 旣服, 習容觀玉聲, 乃出. 기복 습용관옥성 내출 옷을 입으면 임금의 용안과 음성을 익혀서 나가야 한다 라고 하였다. (註1) 將(장수 장,장차 장), 適(맞을 적, 갈 적), 宿(잘 숙,지킬 숙), 齋(재계할 재,엄숙할 재), 沐(목욕할 목,머리감을 목), 浴(목욕할 욕), 笏(홀 홀,희미할 홀), 旣(이미 기), 觀(볼 관) (註2) 군신간의 예절을 설명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상사가 자신을 부르..

소학 2023.08.18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6

孔子曰, 五刑之屬三千, 而罪莫大於不孝 공자왈 오형지속삼천 이죄막대어불효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다섯 가지 형벌이 삼천 가지나 되지만,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보다 더 큰 죄는 없다. (註1) 屬(이을 속) (註2) 고대 중국에서 오형이란 묵형(墨刑), 의형(劓刑), 비형(剕刑), 궁형(宮刑), 대벽(大辟)의 다섯 가지를 말한다. 묵형은 몸에 상처를 내어 그곳에 글자를 새기는 형벌이고, 의형은 코를 베는 형벌이며,비형은 발뒤꿈치를 베는 형벌, 궁형은 생식기를 제거하는 형벌이고, 대벽은 사형을 하는 형벌이다. 서경에 의하면 묵형과 의형이 천 가지, 비형이 오백 가지, 궁형이 삼백 가지, 대벽이 이백 가지의 형벌이 속한 죄로 모두 삼천 가지의 형벌이라 하였다. 이 후 오형은 중국 수나라 문제시대에 형벌을 정리하..

소학 2023.08.17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5

曾子曰, 身也者, 父母之遺體也. 증자왈 신야자 부모지유체야 증자가 말하길, 우리의 몸은 부모가 물려주신 것이다. 行父母之遺體, 敢不敬乎. 행부모지유체 감불경호 부모가 남겨주신 몸으로 행동하면서 감히 경건히 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居處不莊, 非孝也, 事君不忠, 非孝也. 거처불장 비효야 사군불충 비효야 거처하면서 정중하지 않으면 불효이고, 임금을 충성하지 않는 것도 불효이다. 莅官不敬, 非孝也, 朋友不信, 非孝也. 이관불경 비효야 붕우불신 비효야 벼슬을 하면서 일을 경건하게 처리하지 않으면 불효이고, 벗간에 믿음을 져버리면 또한 불효이다. 戰陳無勇, 非孝也. 전진무용 비효야 전쟁터에 나아가 용감하게 싸우지 않는 것도 불효이다. 五者不遂, 灾及其親, 敢不敬乎. 오자불수 재급기친 감불경호 이 다섯 가지를 수행..

소학 2023.08.16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4

孟子曰, 世俗所謂不孝者, 五. 맹자왈 세속소위불효자 오 맹자가 말하길, 세상에서 소위 불효라고 하는 것 다섯 가지가 있다. 惰其四支, 不顧父母之養, 一不孝也. 타기사지 불고부모지양 일불효야 사지육신을 게을리 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것을 돌보지 않는 것이 첫째 불효이고, 博奕, 好飮酒, 不顧父母之養, 二不孝也. 박혁 호음주 불고부모지양 이불효야 바둑이나 장기에 빠지고 술 마시기를 즐겨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것을 돌보지 않는 것이 두번째 불효이다. 好貨財, 私妻子, 不顧父母之養, 三不孝也. 호화재 사처자 불고부모지양 삼불효야 재화와 재물에 몰두하고 처자식만 사사로이 사랑하여 부모의 봉양을 돌보지 않는 것이 세번째 불효이고, 從耳目之欲, 以爲父母戮, 四不孝也. 종이목지욕 이위부모륙 사불효야 귀로 듣고 눈으로 보고..

소학 2023.08.15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3

孝子之事親,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효자지사친 거즉치기경 양즉치기락 효자는 부모를 섬기는데, 평소 거처할 때는 공경하고, 음식을 봉양할 때는 즐겁게 드시도록 지극함을 다하며,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 병즉치기우 상즉치기애 제즉치기엄 병이 드시면 근심함을 극진히 하고, 돌아가시면 마음을 다하여 극진히 애도하며, 제사를 지낼 때는 엄숙함을 다하여야 한다. 五者備矣, 然後能事親. 오자비의 연후능사친 이 다섯 가지를 모두 구비해야 능히 부모를 제대로 섬긴다고 할 수 있다. 事親者, 居上不驕, 爲下不亂, 在醜不爭. 사친자 거상불교 위하불란 재추부쟁 부모를 섬기는 사람은 윗 자리에 있어도 교만하지 않고, 아랫 자리에 있으면 분란을 일으키지 않고, 추악하게 다투지 않아야 한다. 居上而驕則亡, 爲下而亂則..

소학 2023.08.14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2

孔子曰, 父母生之, 續莫大焉. 공자왈 부모생지 속막대언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모가 나를 낳으신 것이니 이보다 더 크게 이어받은 것이 없으며, 君親臨之, 厚莫重焉. 군친임지 후막중언 임금과 어버이가 나를 이끌어 주시니, 이보다 더 두터운 은혜는 없다. 是故不愛其親, 而愛他人者, 謂之悖德. 시고불애기친 이애타인자 위지패덕 이러한 고로 그 부모된 이를 사랑하지 않고,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을 일컬어 패덕이라고 한다. 不敬其親, 而敬他人者, 謂之悖禮. 불경기친 이경타인자 위지패례 그 부모된 이를 공경하지 않고 다른 사람을 공경하는 것을 패례라고 일컫는다 라고 하셨다. (註1) 續(잇닿을 속), 臨(임할 임), 悖(어그러질 패) (註2) 부모에게 정과 육신을 이어받으니 세상에 이보다 큰 은혜는 없다. 동양에서..

소학 2023.08.13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1

孔子謂曾子曰, 身體髮膚, 受之父母. 공자위증자왈 신체발부 수지부모 공자께서 증자에게 일러 말씀하시기를, 사람의 몸과 머리카락과 피부는 부모에서 받은 것이다. 不敢毁傷, 孝之始也. 불감훼상 효지시야 감히 이것을 훼상하지 않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니라. 立身行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입신행도 양명어후세 이현부모 효지종야 몸을 세워 도를 행하며 이름을 후세에 드높게 하여 부모를 드러나게 하는 것이 효도의 끝이로다. 夫孝始於事親, 中於事君, 終於立身. 부효시어사친 중어사군 종어입신 대저 효도는 부모를 섬기는 데서 시작하고, 군왕을 섬기는 것이 중간이며, 세상에 나아가 훌륭히 되는 것에서 끝난다. 愛親者, 不敢惡於人敬親者, 不敢慢於人, 애친자 불감오어인경친자 불감만어인 부모를 사랑하는 사람은 감히 남..

소학 2023.08.12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30

曲禮曰, 君子雖貧, 不粥祭器, 곡례왈 군자수빈 불죽제기 곡례편에서 이르기를, 군자가 비록 가난해도 제기를 팔지 않고, 雖寒, 不衣祭服, 爲宮室, 不斬於丘木. 수한 불의제복 위궁실 불참어구목 비록 추워도 제사복을 입지 않으며,집을 짓기 위해 분묘가 언덕에 있는 나무를 베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註1) 粥(죽 죽), 斬(벨 참) 王制曰, 大夫祭器不假. 祭器未成, 不造燕器. 왕제왈 대부제기불가 제기미성 불조연기 왕제편에서 이르기를, 대부는 제기를 빌려쓰지 않고, 제기를 장만하지 못했으면 잔치에 쓰는 그릇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라고 하였다. (註1) 假(거짓 가), 燕(제비 연)

소학 2023.08.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