曲禮曰, 父召, 無諾. 곡례왈 부소 무락 곡례에서 이르기를, 아버지가 부르시면 느리게 대답해서는 안된다. 先生召, 無諾. 唯而起. 선생소 무락 유이기 선생님이 부르시면 느리게 대답해서는 안되고, 빨리 대답하고 일어나야 한다 고 하였다. (註1) 諾(대답할 락), 召(부를 소), 唯(오직 유) (註2) 락은 대답할 락, 여기서는 느리게 답하는 것이다. 유는 빠르게 대답하는 것을 말한다. 부모가 부르고 찾을 때 자식이 답하지 않는 것만큼 큰 불효는 없다. 이미 모든 기를 소진한 부모를 대하는 태도는 정중한 경의와 빠르게 대답하는 것이다. 한 집안에서 사는 것은 아니라도, 매일 안부 전화라도 묻는다면, 그리고 그것을 귀찮아 하지 않는다면 그 자식은 사람의 자식이라 할 수 있다. 직장생활로 바쁘고 피곤하다는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