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중용(中庸) 십삼장(十三章) - 도불원인

몽그림 2023. 4. 27. 04:48

子曰道不遠人.

자왈    도불원인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도는 사람들에게 멀리 있지 않다.

 

人之爲道而遠人,  不可以爲道.

     

사람이 도를 행하면서 사람을 멀리하면 도를 행한다고 할 수 없다. 라고 하셨다.

 

詩云伐柯伐柯.

시운    벌가벌가

시경에는 도끼 자루를 베는구나, 도끼 자루를 베는구나.

 

其則不遠,  執柯以伐柯,  睨而視之,  猶以爲遠.

           유이위원

그 법칙이 멀리 있지 않컨만도끼 자루를 잡고 도끼자루를 만들 나무를 베면서 곁눈질로 그것을 보면서 오히려 멀리 있다고 한다.

 

故君子以人治人改而止.

고군자이인치인     개이지

그러므로 군자는 사람을 다스릴 때 사람됨됨이를 보고 사람을 다스리고 고치게 되면 그친다.

 

忠恕違道不遠,  施諸己而不願亦勿施於人.

     시저기이불원    역물시어인

충과 서는 도에 어긋나지 않고 멀리 있지 않으니자기에게 베푸는 것을 하지 않으면 남에게 베풀지 말아야 한다.

 

君子之道四,  丘未能一焉.

     

군자의 도가 넷이 있으나 내가 아직 하나도 능한 것이 없다.

 

所求乎子以事父未能也.

소구호자     이사부   미능야

자식에게 구하는 것으로 어버이를 섬기는 것을 능히 하지 못했고,

 

所求乎臣,  以事君,  未能也.

소구호        

신하에게 구하는 것으로 임금을 섬기는 것을 아직 능히 하지 못했으며,

 

所求乎弟以事兄未能也.

소구호제     이사형   미능야

아우에게 구하는 것으로 형을 섬기는 것을 능히 하지 못했으며,

 

所求乎朋友,  先施之,  未能.

        능야

친구에게 구하는 것으로 먼저 베푸는 것을 아직 능히 하지 못했다.

 

庸德之行庸言之謹,  有所不足不敢不勉.

용덕지행    용언지근    유소불족    불감불면

떳떳하게 덕을 행하며 떳떳하게 말을 삼가하고부족한 것이 있으면 감히 힘쓰지 않을 수 없으며,

 

有餘不敢盡,  言顧行行顧言,  君子胡不慥慥爾

    불감진   언고행    행고언    군자호불조조이

남는 것이 있어도 감히 다하지 않아 말은 행실을 돌아보고, 행실은 말을 돌아보니 군자가 어찌 독실하지 않을 수 있으랴.

 

(1) (칠 벌), (가지 가), (곁눈질 할 예), (턱밑살), (착실할 조), (너 이)

 

(2) 도는 본성을 따를 뿐이다 (도자, 솔성이이 者, 率性而已). 진실로 여러 사람이 능히 알고 능히 행할 수 있는 것이니 항상 사람에게 멀리 떨어져 있지 않은 것이다 (고중인지소능지능행자야, 고상불원어인 固衆人之所能知能行者也, 故常不遠於人). 만약 도를 행하는 사람이 도를 행하는 것을 싫어하고 비천하게 여겨 별일 아닌 것이라 하고, 반대로 높고 먼 것을 추구하여 행하기 어려운 일에 힘쓰면 이든 도를 행한다고 할 수 없다 (약위도자, 염기비근, 이위부족위, 이반무위고원난행지사, 즉비소이위도의 爲道者, 厭其卑近, 以爲不足爲, 而反務爲高遠難行之事, 則非所以爲道矣).

  여기 나오는 글귀는 시경 빈풍, 벌가편이다 (시, 빈풍벌가지편 詩, 豳風伐柯之篇). 가는 도끼자루를, 즉은 법칙을, 예는 곁눈질하는 것이다 (가, 부병, 즉, 법야, 예, 사시야 柯, 斧柄, 則, 法也, 睨, 邪視也). 사람이 도끼 자루를 잡고 나무를 베어 새 도끼 자루를 만들 때, 새로 만드는 도끼 자루의 길고 짧은 것은 잡고있는 도끼 자루에 있을 뿐이다 (언인집가벌목이위가자, 피가장단지법, 재차가이 言人執柯伐木以爲柯者, 彼柯長短之法, 在此柯耳). 그러나 오히려 저것과 이것의 부별이 있다고 여겨 도끼자루를 베는 사람은 가까이 있는 것을 보면서도 오히려 멀리 있다고 생각한다 (연유유피차지별, 고벌자시지유이위원야 然猶有彼此之別, 故伐者視之猶以爲遠也)만약 사람을 사람으로 다스리려 하면 사람의 도리가 각자의 몸에 있기 때문에 애초부터 저것과 이것의 차별은 없다 (약이인치인, 즉소이위인지도, 각재당인지신, 초무피차지별 若以人治人, 則所以爲人之道, 各在當人之身, 初無彼此之別). 그러므로 군자가 사람을 다스리는 것은 곧 그 사람의 도로써 그 사람의 몸을 다스려 돌려놓는 것이다 (고군자지치인야, 즉이기인지도, 환치기인지신 故君子之治人也, 卽以其人之道, 還治其人之身). 그리하여 그 사람이 고쳐지면 그치고 더는 다스리지 않는다 (기인능개, 즉지불치 其人能改, 卽止不治)그 사람이 알 수 있고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책임을 지우는 것이며, 그에게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의 도를 적용하고자 하지 않는다 (개책지이기소능지능행, 비욕기원인이위도야 蓋責之以其所能知能行, 非欲其遠人以爲道也). 장재가 말한 많은 사람이 바라는 것으로써 그 사람에게 바라면 쉽게 따라서 한다는 것이 이것이다 (장자소위, 이중인망인, 즉역종시야 張子所謂, 以衆人望人, 則易從是也).

  자신의 마음을 극진히 하는 것을 충이라 하며, 자신에게 비추어 남에게도 미치게 하는 것을 서라고 한다 (진기지심위충, 추기급인위서 己之心爲忠, 推己及人爲恕). 위는 거리를 의미하니 (위, 거야 違, 去也), 춘추전에 제나라의 군사가 곡 땅과의 거리가 칠 리 거리에 있다는 위자와 같은 의미이다 (여춘추전제사위곡칠리지위 如春秋傳齊師違穀七里之違). 이는 여기에서 저기까지의 거리가 멀지 않다는 것이지 배반하여 가버린다는 뜻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다 (언자차지피상거불원, 비배이거지지위야 言自此至彼相去不遠, 非背而去之之謂也). 도는 즉 사람과 멀리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이 이것이다 (도즉기불원인자, 시야 道卽其不遠人者, 是也). 자신에게 베풀어지기를 원하지 않거든 또한 남에게도 베풀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충서이다 (시제기이불원, 역물시어인, 충서지사야 施諸己而不願, 亦勿施於人, 忠恕之事也). 자신의 마음으로 남의 마음을 헤아려 결코 같은 마음이 아니라면 도가 사람에게 멀리 있지 않은 것을 확실히 알 수 있다 (이기지심, 도인지심, 미상부동, 즉도지불원어인자가견 以己之心, 度人之心, 未嘗不同, 則道之不遠於人者可見). 고로 자신이 하고 싶지 않다면 남에게도 시키지 않은 것이 또한 사람을 멀리하지 않고 도를 행하는 것이다 (고기지소불욕, 즉물이시어인, 역불원인이위도지사 故己之所不欲, 則勿以施於人, 亦不遠人以爲道之事). 장자가 자신을 아끼는 마음으로 남을 아끼면 인을 다한 것이다 라고 말한 것이 이것이다 (장자소위이애기지심애인, 즉진인, 시야 張子所謂以愛己之心愛人, 則盡仁, 是也).

  구는 책망하는 것과 같다 (구, 유책야 求, 猶責也). 도가 사람에게 멀리 있지 않으므로 자신이 남을 책망하는 이유는 모두 도의 당연한 것이다 (도불원인, 범기지소이책인자, 개도지소당연야 道不遠人, 凡己之所以責人者, 皆道之所當然也). 고로 돌이켜 자신을 책망하고 자신을 수양하여야 한다 (고반지이자책이자수언 故反之以自責而自脩焉). 용은 평범하고 떳떳한 것이다 (용, 평상야 庸, 平常也). 행은 그 진실됨을 밟는 것이고 근은 그 중에서 올바른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행자, 천기실, 근자, 택기가 行者, 踐其實, 謹者, 擇其可)덕이 부족하다 싶으면 힘쓰고 더욱 힘써서 행하고 (덕부족이면, 즉행익력 德不足而勉, 則行益力), 할 말이 남아 있어도 참아내면 삼가하는 마음이 더욱 지극해진다 (언유여이인, 즉근익지 言有餘而訒, 則謹益至). 삼가하는 마음이 지극하면 말할 때도 자신의 행실을 돌아보고 행실에 힘쓰면 행하면서도 자신의 말을 돌이켜 보게 된다 (근지지즉언고행의, 행지력즉행고언의 謹之至則言顧行矣, 行之力則行顧言矣). 조조는 착실하고 조심하는 모습이다 (조조, 독실모 慥慥, 篤). 군자의 말과 행동이 이와 같으니 어찌 착실하고 조심하지 않겠는가 라고 말한 것은 찬미하는 것이다 (언군자지언행여차, 기불조조호, 찬미지야 言君子之言行如此, 豈不慥慥乎, 贊美之也). 이는 모두가 사람을  멀리하지 않고 도를 행하는 일이다 (범차개불원인이위도지사 凡此皆不遠人以爲道之事). 장자가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자신을 문책하면 도를 온전히 행하는 것이라고 한 것이 바로 이것이다 (장자소위이책인지심책기즉진도, 시야 張子所謂以責人之心責己則盡道, 是也)

  이상은 제 십삼장이다 (우제십삼장 第十三章). 도가 사람에게 멀리 있지 않다는 것은 평범한 부부로서도 할 수 있지만 내가 하나라도 잘한 것이 없다는 것은 성인으로서도 잘하지 못하는 것이 있으니 모두가 비이다 (도불원인자, 부부소능, 구미능일자, 성인소불능, 개비야 道不遠人者, 夫婦所能, 丘未能一者, 聖人所不能, 皆費也). 그러나 그것이 그런 이유로는 지극히 은미한 것에 있기 때문이다, 다음 장도 이와 같다 (이기소이연자, 즉지은존언, 하장방차 而其所以然者, 則至隱存焉, 下章放此).

 

(3) 내가 싫은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 것이 도의 근본이다. 도를 행하는 것은 높고 심오한 것이 아니라 평범한 부부의 도에서 시작되는 것이다. 다만 이런 도가 지극한 경지에 이르게 되면 비록 성인이라 할지라도 알지 못하고 행하지 못할 바가 있다는 것이다공자와 같은 성인도 이런 도를 처 모두 행하지 못한다고 하였으니 중용의 도를 사람들이 실행하기는 어렵다.  끝없이 자신을 갈고 닦지 않으면 중용의 도는 실천하기 어려운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