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素其位而行, 不願乎其外.
군자소기위이행 불원호기외
군자는 현재 자신의 위치에 따라 행할 뿐, 자신 이외의 것은 바라지 않는다.
素富貴, 行乎富貴. 素貧賤, 行乎貧賤
소부귀 행호부귀 소빈천 행호빈천
현재 부유하고 존귀하다면 부유하고 존귀롭게 행하고, 현재 가난하고 천하다면, 빈천스럽게 행하고
素夷狄, 行乎夷狄, 素患難, 行乎患難,
소이적 행호이적 소환난 행호완난
현재 오랑캐로 산다면 오랑캐의 풍속대로 행하고, 현재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 어려운 데 맞춰서 행하니
君子無入而不自得焉.
군자무입이불자득언
군자는 어느 곳을 가든지 스스로 거기에 맞게 행하지 않는 것이 없다.
在上位不陵下, 在下位不援上, 正己而不求於人則無怨.
재상위불능하 재하위불원상 정기이불구어입즉무원
윗 자리에 있어도 아랫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고,아랫 자리에 있어도 윗 사람에게 도움을 바라지 않고, 자기 자신을 바르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 바라지 않으면 원망도 없다.
上不怨天, 下不尤人.
상불원천 하불우인
그리하여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아래로는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않는 것이다.
故君子居易以俟命, 小人行險以徼幸.
고군자거이이사명 소인행험이요행
그러므로 군자는 평이하게 살면서도 천명을 따르고, 소인은 위태롭게 살면서도 행운만을 바란다.
子曰, 射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
자왈 사유사호군자 실저정곡 반구제기신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활쏘기는 군자의 동와 유사하다. 과녁을 맞히지 못하면 돌이켜서 자신의 몸에서 그 원인을 찾기 떄문이다.’라고 하셨다.
(註1) 素(흴 소), 願(원할 원), 賤(천할 천), 夷(오랑캐 이), 狄(오랑캐 적), 患(근심 환), 陵(언덕 능), 援(도울 원), 怨(원망할 원),尤(더욱 우), 居(살 거), 侯(제후 후), 險(험할 험), 徼(돌 요), 幸(다행 행), 似(같을 사), 鵠(고니 곡, 과녁 곡, 클 호,학 학), 反求諸其(반구제기-일의 잘못이 자기에게 있다는 것), 正鵠(정곡-과녁의 한 가운데,정중앙)
(註2) 소는 현재라는 의미와 같다 (소, 유견재야 素, 猶見在也). 군자는 현재에 처한 자리에서 보고 자신이 당연히 해야할 일만을 할 뿐이지, 자신을 벗어난 일에는 마음을 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언군자단인견재소거지위, 이위기소당위, 무모호기외지심야 言君子但因見在所居之位, 而爲其所當爲, 無慕乎其外之心也). 이는 자신이 현재 처한 위치에 따라 행하는 것을 말한다 (차언소기위이행야 此言素其位而行也). 이는 자신 이외의 것은 원치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차언불원호기외야 此言不願乎其外也). 이는 평탄한 것을 거이는 현재의 위치에 따라 행한다는 것이다 (이, 평지야, 거이, 소위이행야 易, 平地也, 居易, 素位而行也). 사명은 자신 외의 것을 원하지 않는 것을, 요는 구한다는 것이다 (사명, 불원호외야, 요, 구야 俟命, 不願乎外也, 徼, 求也). 행은 마땅히 얻어서는 안될 것을 얻는 것을 일컫는다 (행, 위소부당득이득자 幸, 謂所不當得而得者). 베에 그린 과녁을 정이라 하고, 가죽에 매단 것을 곡이라 하는데, 모두 과녁의 중앙부위로 활쏘기의 표적이다 (화포왈정, 서피왈곡, 개후지중, 사지적야 畵布曰正, 棲皮曰鵠, 皆侯之中, 射之的也). 자사는 공자의 말을 인용하여 위 글의 의미를 결론 지었다 (자사인차공자지언, 이결상문지의 子思引此孔子之言, 以結上文之意). 이상은 제 십사장이며 자사의 말에 대개 각 장의 머리에 자왈이 없는 것은 이와 같다 (우제십사장, 자사지언야, 범장수무자왈자자, 방차 右第十四章, 子思之言也, 凡章首無子曰字者, 放此).
(註3) 반구제기(反求諸己)는 예기에서 비롯된 말로 농어, 중용, 맹자등에 그 핵심이 되는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결과와 행위에 대한 것이 모두 자기에게서 비롯되었으니 자기에게서 그 원인을 찾는 것을 말한다.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 십육장(十六章) - 부미지현 성지불가엄 (1) | 2023.04.30 |
---|---|
중용(中庸) 십오장(十五章) - 비여행원필자이 비여등고필자비 (0) | 2023.04.29 |
중용(中庸) 십삼장(十三章) - 도불원인 (1) | 2023.04.27 |
중용(中庸) 십이장(十二章) - 군자지도 비이은 (2) | 2023.04.26 |
중용(中庸) 십일장(十一章) - 군자의호중용 (0)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