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之道, 費而隱.
군자지도 비이은
군자의 도는 넓고 은은하다.
夫婦之愚, 可以與之焉, 及其至也, 雖聖人亦有所不知焉.
부부지우 가이여지언 급기지야 수성인역유소불지언
어리석은 부부라도 가히 함께 할 수 있지만그 지극한 경지에 이르게 되면 비록 성인이라도 알지 못하는 것이 있다.
夫婦之不肖, 可以能行焉, 及其至也, 雖聖人亦有所不能焉.
부부지불초 가이능행언 급기지야 수성인역유소불능언
모자라는 부부라도 능히 행할 수 있으나, 그 지극한 경지에 이르러서는 비록 성인이라도 능히 행할 수 없는 것이 있다.
天地之大也, 人猶有所憾.
천지지대야 인유유소감
천지가 크다고는 하지만 사람에게는 오히려 유감스런 바가 있으니,
故君子語大, 天下莫能載焉, 語小, 天下莫能破焉.
고군자어대 천하막능재언 어소 천하막능파언
군자가 큰 것을 말하면 천하에 실을 수가 없고, 작은 것을 말하면 천하를 능히 깰 수가 없다.
詩云, 鳶飛戾天, 魚躍於淵, 言其上下察也.
시운 연비여천 어약어연 언기상하찰야
시경에 이르기를 솔개는 하늘을 날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고 있다고 하였는데, 그것은 상하로 살필 수 있는 것이다.
君子之道, 造端夫婦, 及其至也, 察乎天地.
군자지도 조단부부 급기지야 찰호천지
군자의 도는 부부에서부터 발단되고 그 지극한 경지에 이르게 되면 천지에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註1) 鳶(솔개 연), 戾(어그러질 려), 躍(뛸 약), 察(살필 찰), 造(지을 조), 端(단정할 단), 猶(오히려 유), 憾(한할 감)
(註2) 군자의 도는 가까이는 부부가 집에서 거처하는 사이에서부터 멀리는 성인과 천지도 능히 다할 수 없는 것에까지 이른다 (군자지도, 근자부부거실지간, 원이지어성인천지지소불능진 君子之道, 近自夫婦居室之間, 遠而至於聖人天地之所不能盡). 그 큰 것에는 바깥이 없고, 작은 것은 안이 없으니 넓다고 이를 만하다 (기대무외, 기소무내, 가위비의 其大無外, 其小無內, 可謂費矣). 그러나 그 이치에 대한 것은 은미하게 숨겨져 있으니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연, 기리지소이연, 즉은이막지견야 然, 其理之所以然, 則隱而莫之見也). 알 수 있고 능할 수 있는 것은 도 가운데 한 가지 일이고 그 지극한 경지에 이르게 되면 성인도 알지 못하고 능하지 못하다 (개가지가능자, 도중지일사, 급기지이성인부지불능 蓋可知可能者, 道中之一事, 及其至而聖人不知不能). 이것은 전체 개요를 말한 것으로 성인도 진실로 다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 (즉거전체이언, 성인, 고유소불능진야 則擧全體而言, 聖人, 固有所不能盡也). 후중량이 말하길 성인도 알지 못한다는 것은 공자께서 예를 묻고 관제를 물은 것과 같은 종류의 일이고 (후씨왈, 성인소부지, 여공자문예문관지류 侯氏曰, 聖人所不知, 如孔子問禮問官之類), 능하지 못하다 함은 공자께서 지위를 얻지 못하고, 요순이 널리 베푸는 것을 부족하게 여기는 것과 같은 것이다 (소불능, 여공자부득위, 요순병박시지류 所不能, 如孔子不得位, 堯舜病博施之類). 어리석은 사람이 생각해보니 사람이 천지에 대해 유감스러워 하는 것은 하늘이 덮고 땅에 실어서 나고 자라게 되는데, 춥고, 덥고, 재앙과 일상사가 바르지 않는 것을 일러 말하는 것이다 (우위인소감어천지, 여복재생성지편, 급한서재상지부득기정자 愚謂人所憾於天地, 如覆載生成之偏, 及寒署災祥之不得其正者). 시는 대아 한록편이다 (시, 대아한록지편 詩, 大雅旱麓之篇). 연은 솔개의 종류이고, 여는 이르게 되는 것이다 (연, 치류, 여, 지야 鳶, 鴟類, 戾, 至也). 찰은 드러나는 것이다 (찰, 저야 察, 著也). 자사는 시를 인용하여 형태가 이뤄지고 자라는 데 시간이 흘러, 상하가 밝게 드러나게 되는 것은 이러한 이치가 쓰여진 것을 밝힌 것으로, 이른바 비라는 것이다 (자사인차시, 이명화육류행, 상하소저, 막비차리지용, 소위비야 子思引此詩, 以明化育流行, 上下昭著, 莫非此理之用, 所謂費也). 그러나 소이연이란 보고 들은 것으로 미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은이라 하는 것이다 (연, 기소이연자, 즉비견문소급, 소위은야 然, 其所以然者, 則非見聞所及, 所謂隱也). 고로 정자가 말하길 여기 일절은 요긴하게 사람을 위한 것이고 생동감이 넘쳐난다고 하였으니 독자들은 깊이 생각하여야 한다 (고, 정자왈, 차일절, 자사끽긴위인처, 활발발야, 독자기치사언 故, 程子曰, 此一節, 子思喫緊爲人處, 活潑潑地, 讀者其致思焉).
(註3) 군자의 도를 설명한 것이다. 필부라 하더라도 그 도를 함께 할 수 있고 행할 수 있다고 말하고, 비록 성인이라도 일정 경지 이상의 것은 알지 못하고 행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성인이 만능이 아닌 바에야 그러함이 당연하다. 다만 일반 범부와 필부라 하더라도 함께 도를 행하는 데 참여하고 실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단초에서부터 중용의 도는 실천되는 것이다. 또 중용의 도는 부부간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시경 대아의 한록편은 문왕의 덕을 노래한 문왕지십의 시가이다. 시경은 당시 삼천 여편의 풍과 아와 송의 시가를 공자가 음란하거나 도에 위배되는 것을 제외시키고 삼백십일편의 악가를 정리한 책인데 이중에서 여섯 편은 제목만 전하고 실전되었다. 흔히 우리가 들었던 사서 삼경에서 시경은 서경, 역경과 함께 삼경에 속한다. 공자는 시경과 서경을 정리하여 편하였고, 역경도 정리하여 후세에 전하였다. 공자는 시를 대단히 중요시하게 생각하였는데, 시를 사무사라고 하였고 아들과 제자들에게 그 중요성을 알리고 배우도록 하였다.
사서는 논어, 맹자, 대학, 중용을 말하는데, 논어는 공자의 말과 제자들과의 논담을, 대학과 중용은 공자의 말과 사상을, 맹자는 공자의 사상에 대한 뜻을 진술한 것으로 사서 삼경은 모두 공자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사서삼경은 물론 송나라의 주희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고 정리가 되어 후세에 전해졌고, 사서삼경은 동양 사상과 유교의 기본 경전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에는 이 책을 제대로 공부하지 않으면 과거시험에 합격할 수 없었고, 지식인으로 대접받지 못하였다. 동양에서 통치이념과 철학 그 자체가 이것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경 대아의 한록편을 읽어보면,
旱麓篇
瞻彼旱麓 榛楛濟濟 豈弟君子 干祿豈弟
瑟彼玉瓚 黃流在中 豈弟君子 復祿攸降
鳶飛戾天 漁躍于淵 豈弟君子 遐不作人
淸酒旣載 騂牡旣備 以享以祀 以介景福
瑟彼柞棫 民所燎矣 豈弟君子 神所勞矣
莫莫葛藟 施于條枚 豈弟君子 求福不回
저 한산 기슭을 바라보니 개암나무와 호나무 무성한데,
공손한 군자님이 복록을 공손히 구하시네.
반뜻한 옥잔에 황금 잎이 떠있는 듯. 공손한 군자님께 복록을 주시네.
솔개는 하늘을 날고 고기는 연못에서 뛰노니
공손한 군자님 어이 인재를 잘 쓰지 않으리오.
맑은 술을 올리고 붉은 숫소를 준비하여,
흠향하고 제사를 지내시어 큰 복을 구하시네.
저기 우거진 갈참나무와 백유나무를 백성들이 베어내니,
공손한 군자님을 신령들도 위로하시네.
무성한 칡 넝쿨 나뭇가지 위로 뻗어 있고,
공손한 군자님은 복을 구하시어 어긋나지 않으시네.
여기에서 인용한 하늘을 나는 솔개와 물에서 뛰노는 물고기는 상하를 망라한다는 말이다. 대아편은 문왕의 덕을 노래한 것으로 공손한 군자는 문왕을 의미한다.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 십사장(十四章) - 반구제기신 (0) | 2023.04.28 |
---|---|
중용(中庸) 십삼장(十三章) - 도불원인 (1) | 2023.04.27 |
중용(中庸) 십일장(十一章) - 군자의호중용 (0) | 2023.04.25 |
중용(中庸) 십장(十章) - 군자화이불류 강재교 (1) | 2023.04.24 |
중용(中庸) 구장(九章) - 중용불가능야 (0) | 2023.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