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논어 (論語) - 제19편 자장 (子張): 유시유졸자 기유성인호 #7

몽그림 2023. 2. 13. 04:00

游曰夏之門人小子應對進退則可矣.

자유왈     자하지문인소자    당쇄소응대진    즉가의   억

자유가 말하길 자하의  제자들은 의당 물뿌리고 쓸며 응대하고 나가고 물러나는 것은 할 수 있지만 말단의 일이다.

 

本之則無如之何?

본지즉무여지하

근본은 없으니 어찌할 것인가?’라고 하였다.

 

子夏聞之,  ,  !  言游過矣!

자하문지    왈       언유과의

자하가 듣고서 어허 언유가 과하구나!

 

子之道孰先傳焉孰後倦焉?

군자지도    선전언     후권언

군자의 도란 어떤 것을 먼저 전수하고, 어떤 것을 뒤라고 하여 게을리 하랴?

 

譬諸草木,  區以別矣,  子之道,  焉可誣也? 

    의    군자지도    언가무야

초목에 비유해 보라. 영역을 나누어 구별하는 것이어늘 군자의 도를 어찌 속일 수 있으랴?

 

有始有卒者其唯聖人乎!

유시유졸자    기유성인호

처음과 끝이 같이 있는 사람은 오직 성인뿐이리라!’라고 하였다.

 

(1) (뿌릴 쇄), (쓸 소), (응할 응), (누를 억), (누구 ), (전할 전), (게으를 권), (팔 비), (거짓 무), (오직 유), (구역 구)

 

(2) 자유는 언언(言偃)이다 (자유, 언언야 子遊, ). 문인소자는 제자를 이름이다 (문인소자, 위제자야 人小弟子). 응은 마땅한 것이고 억은 어사이다 (응, 당야, 억, 어사야 , 當也, , ). 본은 성왕의 도를 일컬으며 (본, 위선왕지도 先王之), 언언이 자하의 제자를 평하여 빈객의 접대와 형식적인 예절에 관한 일만 할 수 있다고 하였다 (언언유시평론자하지제자, 단당대빈객수위의예절지사즉가 偃有時評論子夏之弟, 當對賓客脩威儀禮節之事則可). 제는 지이다 (제, 지야 , 之也). 큰 도와 작은 도가 차이가 있거늘 초목에 비유하면 종류별로 영역이 있듯이 배움에도 차이가 있음이다 (언대도여소도수리, 비지초목, 이류구별, 언학당이차야 大道與小道殊之草類區學當以次). 졸은 종과 같다 (졸, 유종야 )사람이 배우는 도에는 처음과 끝이 다른데 능히 처음부터 끝까지 싫어하거나 게으르지 않는 사람은 오직 성인이다 (언인지학도, 미불유초, 선극유종, 능종시여일, 불염권자, 기유성인이 人之學, 不有, 克有, 終始如, 厭倦, 唯聖人).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