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亢問於伯魚曰, 子亦有異聞乎?
진항문어백어왈 자역유아문호
진항이 백어에게 묻기를 ‘선생은 남다른 것을 배우셨습니까?’라고 하자,
對曰, 未也.
대왈 미야
백어가 답하기를 ‘없습니다.
嘗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詩乎? 對曰, 未也.
상독립 리추이과정 왈 학시호 대왈 미야
홀로 서 계실 때 리가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나다가 시를 배웠느냐 라고 물으실 때 아직 배우지 못했다고 대답하자
不學詩, 無以言. 鯉退而學詩.
불학시 무이언 리퇴이학시
시를 배우지 않으면 말할 수 없다고 하시길래 물러나 시를 배웠습니다.
他日, 又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禮乎? 對曰, 未也.
타일 우독립 리추이과정 왈 학례호 대왈 미야
다른 날 또 홀로 서 계실 때 종종걸음으로 뜰을 지날 때 예를 배웠느냐 라고 물으실 때 아직 배우지 못했습니다 했더니
不學禮, 無以立. 鯉退而學禮. 聞斯二者.
불학례 무이립 리퇴이학례 문사이자
예를 배우지 않으면 설 수가 없다 라고 하시길래 리는 물러나 예를 배웠습니다. 이 두 가지를 들었습니다.’라고 하였다.
陳亢退而喜曰, 問一得三, 聞詩聞禮, 又聞君子之遠其子也.
진항퇴이희왈 문일득삼 문시문례 우문군자지원기자야
진항이 물러나와 기뻐 말하기를 ‘하나를 물었는데 셋을 얻었도다. 시를 알고 예를 알고 또한 군자가 그의 아들을 멀리 하였음을 알았다.’라고 하였다.
(註1) 陳(베풀 진), 亢(목 항), 異(다를 이), 嘗(맛볼 상), 獨(홀로 독), 鯉(잉어 리), 趨(달릴 추), 庭(뜰 정), 他(다를 타), 喜(기쁠 희)
(註2) 진항(陳亢)은 진(陳)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제자이다. 성이 진(陳)이고, 이름이 항(亢)이며, 자는 자금(子禽)이다. 백어(伯魚)는 공자의 아들 공리(孔鯉)의 자(字)이다. 항은 사사롭게 성인을 생각하여 틀림없이 그 아들에게 은밀하게 잘해 줄 것이라 의심했다 (항이사의규성인, 의필음후기자 亢以私意窺聖人, 疑必陰厚其子). 시를 배우면 사리에 통달하고 심기가 화평해지므로 말할 수 있음이다 (학시, 사리통달, 이심기화평, 고능언 學詩, 事理通達, 而心氣和平, 故能言). 예를 배우면 품행이 절도 있고 상세하게 밝으므로 덕성이 굳게 안정되므로 능히 홀로 설 수 있다 (학례, 품절상명, 이덕성견정, 고능립 學禮, 品節詳明, 而德性堅定, 故能立). 혼자 서 계실 적에 들은 내용은 이와 같았고 달리 들은 것이 없음을 가히 알 수 있다 (당독립지시, 소문불과여차, 기무이문가지 當獨立之時, 所聞不過如此, 其無異聞可知).
邦君之妻, 君稱之曰夫人, 夫人自稱曰小童,
방군지처 군칭지왈부인 부인자칭왈소동
군주의 아내를 임금이 부를 때는 부인, 부인 스스로는 소동,
邦人稱之曰君夫人, 稱諸異邦曰寡小君, 異邦人稱之亦曰君夫人.
방인칭지왈군부인 칭제이방왈과소군 이방인칭지역왈군부인
나라 사람이 부를 때는 군부인, 다른 나라 사람에게 일컬을 대는 과소군, 다른 나라 사람이 부를 때는 군부인이라고 한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論語) - 제17편 양화 (陽貨): 성상근야 습상원야 #2 (0) | 2023.01.13 |
---|---|
논어 (論語) - 제17편 양화 (陽貨): 오장사의 #1 (0) | 2023.01.12 |
논어 (論語) - 제16편 계씨 (季氏 ): 견선여불급 견불선여탐탕 #7 (1) | 2023.01.10 |
논어 (論語) - 제16편 계씨 (季氏 ): 군자유구사 #6 (5) | 2023.01.09 |
논어 (論語) - 제16편 계씨 (季氏 ): 군자유삼계 군자유삼외 #5 (1) | 202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