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논어 (論語) - 제7편 술이 (述而): 자소아언 개아언야 #10

몽그림 2022. 8. 8. 04:24

子所雅言詩,  書,  執禮皆雅言也.

자소아언    시   서    집   개아언야

공자는 시, 서와 집례는 품격있게 바른 말씀으로 하셨다.

 

(1) (아담할 아), (잡을 집), (다 개), 雅言(아언-정음,정언,항상,바르다,우아하다), 執禮(집례-일을 집행하는 예)

 

(2) 시로써 정성의 이치를 알고 서로써 정사의 도를 알고 예는 절문을 근엄하게 하는 것이다 (시이리정성, 서이도정사, 예이근절문 詩以理情性, 書以道政事, 禮以謹節文). 모두 일용에서 실제로 쓰는 것이므로 항상 말씀하셨다. 예란 지켜야 할 바를 말한 것이니 외우기만 해서는 안된다 (개절어일용지실, 고상언지. 예독언집자, 이인소집수이언, 비도송설이이야 切於日用之實, 故常言之. 禮獨言執者, 以人所執守而言, 非徒誦說而已也). 정자는 공자께서 평소 하신 얘기는 이러한 것이다. 성과 천도에 관하여 얻어 듣는 것이 불가할 수 있지만 묵묵히 깨닫도록 해야한다 (정자왈, 공자아소지언, 지어여차. 약성여천도, 즉유불가득이문자, 요재묵이식지야 , 子雅素之言, 止於如此. 若性與天道, 則有不可得而聞者, 要在黙而識之也)고주에 따르면 공자는 그 음을 바르게 하셨다 (공자정언기음, 무소휘피지사 子正言其音, 無所諱避之).

 

(3) 학자들의 의견이나 고주와 신주의 해석은 큰 차이를 보인다고주의 경우는 아언이 정음이나 정언이니 바른 음색으로 말씀하신 것을 의미한다. 즉 당시 노나라의 방언이 아닌 주나라의 올바른 발음으로 시경과 서경을 읽고 예식을 집행할 때도 그리 했다는 것이다그러나 신주는 시, 서, 예는 항상 우리가 평소에 일용하는 것으로서 공자께서는 늘 이것을 몸에 익히고 계셨다는 뜻에 가깝다그러나 공자의 고매한 품격을 얘기하는 것이 본 문장의 뜻이어야 한다

 

 

公問孔子於子路子路不對.

공문공자어자로     자로불대

섭공이 자로에게 공자에 대해 물었지만 자로가 대답하지 않았다.

 

子曰,  女奚不曰,  其爲人也發憤忘食樂以忘憂不知老之將至云爾.

자왈    여해불왈    기위인야   발분망식     낙이망우    부지로지장지운이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너는 어이 그 사람됨은 발분하면 식사하기를 잊으며, 즐거워 근심을 잊고, 장차 늙음이 가까이 오는 것도 알지 못한다라고 말하지 않았느냐?’라고 하셨다.

 

(1) (), (어찌 해), (분할 분)

 

(2) 섭공은 이름이 제량이고 초나라 대부이며 섭현을 식읍으로 다스렸는데 참람하게 공을 칭했다 (섭공명제량, 초대부, 식채어섭, 참칭공 公名諸, , 菜於, )공자의 위인됨을 자로에게 묻자 답을 알지 못하여 대답하지 않았다 (문공자위인지행어자로, 자로미지소이답, 고불대해, 하야 孔子為人誌行於子, 路未知所以, 不對奚, 何也).

 

(3) 섭공은 초나라 섭현(葉縣)지방을 다스리던 심제량(沈諸梁), 자는 자고(子高)이다. 공자가 제후국을 주유열국할 때 초나라 변방의 섭지방에 들렀을 때 공자와 만나고자 하였다섭공이 공자를 비웃으며 공자의 인물됨이 무엇인지를 묻자 불쾌한 자로가 대답을 하지 않았다는 설도 있다섭공은 섭공호룡(葉公好龍)이라는 고사의 주인공으로 아첨을 잘하여 재상의 자리에 올랐다. 섭공호룡은 겉으로는 좋아하는 척하지만 사실은 좋아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말이다섭공은 룡을 좋아한다고 얘기하면서 자신의 집의 벽과 기둥, 가구와 쓰는 물건에도 룡을 그리거나 무늬로 장식하였다그러나 룡이 섭공의 얘기를 듣고 그의 집을 방문하자 섭공은 놀라 도망갔다고 하는 일화에서 비롯된 말이 섭공호룡이다후 문을 숭상한다고 얘기하던 노나라 애공의 얘기를 듣고 공자의 제자인 자장이 찾아갔으나 만나주지 않았다자장이 애공이 선비를 좋아하는 것은 섭공이 룡을 좋아하는 것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하였다공자가 주유열국(周遊列國)하던 시절 공자와 그의 제자들은 제후와 각 국의 권력자들에게 냉대와 푸대접을 받았다공자를는 상가지구(喪家之狗) , 상갓집 개에 비유되기도 하였으며 죽음의 협박과 제자들과 함께 절량의 위기에 처하기도 하였다여기에 나오는 섭공 또한 예외는 아니다. 그가 공자를 대접한 것은 아니지만 공자가 제후가 아닌 교만한 대부를 찾아갈 정도로 궁핍한 입장이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