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논어 (論語) - 제7편 술이 (述而):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 #3

몽그림 2022. 8. 1. 13:49

甚矣吾衰也久矣吾不復夢見周公!

자왈    심의오쇠야     구의오불복몽견주공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심히 내가 노쇠하였도다! 오래되었구나 내가 더 이상 주공을 꿈에서 볼 수 없는 것이.’라고 하셨다.

 

(1) (심할 심), (쇠할 쇠), (돌아올 복), ()

 

(2) 공자가 자신이 노쇠하였음을 탄식한 것이다 (공자탄기쇠로, 언아성시상몽견주공, 욕행기도, 금즉구다시의, 오경불복몽견주공, 지시오쇠로심의 孔子歎其衰老, 言我盛時嚐夢見周公, 欲行其道, 今則久多時矣, 吾更不複夢見周公, 知是吾衰老甚矣).

 

(3) 주공(周公)주나라 문왕(文王) 아들이며  주무왕(周武王) 동생이다주공은 이름이 단이며 그의 아들 백금과 함께 배향된 주공의 태묘는 노나라에 있다. 주무왕이 죽자 어린 조카인 성왕(成王)보필하여 주나라의 정치적 기반과 문물을 정비하였고 노나라의 제후로 봉해졌으나 그의 아들 백금을 대신 보내 다스리게 하여 노나라의 시조가 되었다어린 조카의 왕위를 노리는 것으로 의혹을 받았으나, 사심을 가지지 않고 어린 조카의 후견인이 되어 주나라의 기틀을 다져 성인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조선의 수양대군에게 단종이 자신의 주공이 되어줄 것을 청하였으나 수양대군은 단종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하였으니 극히 대조적이다주공이 만든 주례와 여러 서책과 정치적인 태도를 공자는 깊이 흠모하였다공자의 스승이 없다고 하지만 공자에게 실제 스승은 주공 단이다공자는 주공 단의 나라인 노나라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주공의 예악과 문물제도는 물론 정치를 한 모습까지 공자는 닮고 싶어 했다은나라의 후예인 공자지만 문물제도와 예악은 주나라의 것을 이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子曰,  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游於藝 

자왈    지어도  거어덕   의어인  유어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도를 배우는데 뜻을 두고, 덕에 의거하여 실행하고, 인에 의해 베풀하고, 육예를 배워 군자답게 노닐어라.’고 하셨다.

 

(1) (의지할 거), (의지할 의), (놀 유), (재주 예)

 

(2) 유어예(游於藝)에서 예는 선비들이 반드시 배워야 할 여섯 가지의 예를 말한다. 육예는 예법(禮), 음악(樂), 활쏘기(射), 마차운전(御), 서예(書), 수학(數)여섯 가지를 말한다.

 

(3) 공자가 가르치고 싶은 것은 사람다운 삶을 영위하는 것이고 거기에 부합되는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도에 뜻을 둔다면 제대로 배워야 할 것이고 덕에 의거하면 덕있게 베풀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인에 의한 것은 인을 기준으로 실행하는 것을 말한다. 예에 노니는 것은 육예,즉 선비들이 익혀야 할 예.....수를 가지고 즐기는 것을 말한다이런 생활규범을 지키고 실행하는 것이 군자다운 모습이며 공자가 주창한 인을 실천하는 지극히 정상적인 방법일 것이다대만의 모 대학교 정문에는 이 글귀가 새겨져 있어 학생들이 지나 다닐 때마다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무릇 정상적인 사람으로 성장하는 방법을 이천오백년 전의 공자는 정확히 제시하여 놓았다공자의 가르침, 논어의 생명력은 이런 데에서 연유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