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자왈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득지 부처야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부유함과 고귀함, 이것은 사람이 원하는 바이다. 그것을 도리로써 얻지 아니하면 가지지 않는다.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빈여천 시인지소악야 불이기도득지 불거야
가난하고 천한 것은 사람이 싫어한다. 그것은 도리로써 얻지 아니하면 벗어나지 않는다.
君子去仁, 惡乎成名?
군자거인 악호성명
군자가 인이 없으면 이름을 들어낼 수가 없다.
君子無終食之間違仁, 造次必於是, 顚沛必於是.
군자무종식지간위인 조차필어시 전패필어시
군자는 밥 먹는 짧은 시간에도 인을 어기지 말고 다급하거나 곤경에 처해서도 반드시 인을 지켜야 한다.’고 하셨다.
(註1) 賤(천할 천), 違(어길 위), 造(지을 조), 顚(이마 전), 沛(늪 패), 顚沛(전패-엎어지고 자빠지는 것), 造次(조차-짧은 시간,급한 때), 造次顚沛(조차전패-잠시동안)
(註2) 인(仁)을 행하는 것에 대한 얘기이다 (차장광명인행야 此章廣明仁行也). 재물이 많은 부자와 지위가 높아서 귀한 것을 탐하고 바라지만 (부자재다, 귀자위고, 차이자시인지소탐욕야 富者財多, 貴者位高, 此二者是人之所貪欲也), 만약 이 두가지를 도로써 얻지 않는 것은 비록 이것을 사람들이 가지려 하지만 인자는 가지지 않는다 (약불이기도이득지, 수시인지소욕, 이인자불처야 若不以其道而得之, 雖是人之所欲, 而仁者不處也). 가난하고 지위가 낮아 천한 것도 사람들이 싫어하지만 도를 어겨가면서 그것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수시인지소악, 이인자불위이거지야 雖是人之所惡, 而仁者不違而去之也).
子曰,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
자왈 아미견호인자 악불인자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인을 좋아하는 사람과 불인을 싫어하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好仁者, 無以尙之,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加乎其身.
호인자 무이상지 악불인자 기위인의 불사불인자가호기신
인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 덕을 능가할 수가 없고, 불인을 싫어하는 사람은 그 자신이 인을 실행하지만 불인한 것이 자신에게 더해지지 않도록 한다.
有能一日用 其力於仁矣乎?
유능일일용 기력어인의호
하룻동안 자신의 힘을 인을 행하기 위해 쓴 사람이 있었느냐?
我未見力不足者. 蓋有之矣, 我未之見也.
아미견력부족자 개유지의 아미지견야
나는 인을 행함에 힘이 부족한 것을 보지 못했다. 만약 그런 사람이 있을 지라도 나는 아직 보지 못했다.‘ 라고 하셨다.
(註1) 尙(오히려 상), 無以(무이-~할 수 없다), 無以尙之(그것을 능가할 수 없다), 能(능할 능), 蓋(덮을 개), 蓋有之矣(아마도 그러한 사람이 있었을 것이다)
(註2) 상(尙)은 인을 행하는 덕이 최상이라는 뜻이다 (상야, 언성호인자, 위덕지최상, 타행무이경상지, 언난복가야 上也, 言性好仁者, 為德之最上, 他行無以更上之, 言難複加也). 불인을 싫어하는 사람은 역시 인을 행하려 한다 (언능질악불인자, 역득위인 言能疾惡不仁者, 亦得為仁). 다만 그 실행이 약하고 적어서 자기 자신이 인을 행하되 스스로에게 의가 아닌 것을 더하려 하지 않는 것이다 (단기행소렬, 고왈기소위인의야, 유능불사불인자가호비의어이신야 但其行少劣, 故曰其所為仁矣也, 唯能不使不仁者加乎非義於已身也). 고로 인을 좋아하는 사람의 덕이 최상이다(불여호인자무이상지위야 不如好仁者無以尚之為優也).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論語) - 제 4편 이인 (里仁):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 #5 (0) | 2022.06.19 |
---|---|
논어 (論語) - 제 4편 이인 (里仁): 관과 사지인의 #4 (0) | 2022.06.18 |
논어 (論語) - 제 4편 이인 (里仁): 유인자 능호인 능오인 #2 (0) | 2022.06.16 |
논어 (論語) - 제 4편 이인 (里仁): 인자 안인 지자 이인 #1 (0) | 2022.06.15 |
논어 (論語) - 제 3편 팔일 (八佾): 거상불관 위례불경 임상불애 오하이관지재 #13 (0) | 2022.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