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논어 (論語) - 주희(朱熹)의 논어집주(論語集註) 서설(序說), #1

몽그림 2022. 4. 7. 02:22

주희의 논어집주 서설

 

史記世家曰孔子名丘字仲尼其先宋人

사기세가왈    공자명구   자중니  기성송인    

사기 세가에 이르기를 공자의 이름은 구, 자는 중니이며 그의 선조는 송나라 사람이다

 

父叔梁紇母顔氏. 以魯襄公二十二年庚戌之歲十一月庚子生孔子於魯昌平鄕陬邑.

부숙량흘  모안씨    이​노양공이십이년   경술지세    십일월경자   생공자어노창평향추읍

아버지는 숙량흘이며 어머니는 안씨이다. 노양공 22년 경술년 십일월 경자일에 공자는 노나라 창평향 추읍에서 출생하였다

 

爲兒嬉戱常陳俎豆設禮容.

위아희희   상진조두  설예용

어릴 적에는 항상 제기를 늘어놓고 예를 행하며 놀기를 좋아하였다.

 

及長爲委吏料量平 (委吏本作季氏史索隱云一本作委吏與孟子合今從之.)

급장  위위리   요량평   위리   복작계씨사   색은운   일본작위리   여맹자합   금종지

성인으로 위리가 되었을 때는 양을 재는데 공평하게 하였다 (위리는 본래 계씨의 벼슬로 색은편에 이르기를 한 가지 본에 위리로 되어 있고 맹자의 기술과 합치하여 이제 이를 따른다).

 

爲司職吏畜蕃息. (見周禮牛人讀爲樴義與杙同蓋繫養犠牲之所此官卽孟子所謂乘田.)

위사직리   축번식    직  견주례우인    독위직   의여익동   개계양희생지소   차관즉맹자소위승전

직리가 되었을 때는 가축을 번식하였다 (직은 주례우인편에 보이는데 직이라고 읽고 의미는 말뚝과 같다직은 희생되는 가축을 매어놓고 기르는 기르는 장소를 말하고 맹자에서는 승전이라는 직책이다). 

 

適周問禮於老子旣反而弟子益進.

적주  문예어노자    기반   이제자익진      

주나라에 가서 노자에게 예를 물었고 돌아와서는 제자들이 많이 늘었다

 

昭公二十五年甲申孔子年三十五而昭公奔齊魯亂.

소공이십오년갑신    공자년삼십오    이소공분제   노란

노소공 이십오년 갑신일에 공자가 삼십오 세가 되던 해, 노소공이 제나라로 도망가고 노나라가 어지러워졌다

 

於是適齊爲高昭子家臣以通乎景公. (有聞韶 問政二事.) 

어시적제    위고소자가신   이통호경공    유문소  문정이사

이에 공자는 제나라로 가서 고소자의 가신이 되었고 경공과 통하게 되었다 (소악을 듣고 배웠으며 경공이 두 가지의 정사를 자문하였다). 

 

公欲封以尼谿之田晏嬰不可公惑之. (有季孟吾老之語.) 孔子遂行反乎魯.

공욕봉이이계지전    안영불가   공혹지     유계망재노지어    공자수행   반호노

제경공이 니계의 밭을 봉하고자 하였지만 안영이 반대하여 경공이 하지 않았다 (경공이 계손씨와 맹손씨의 중간으로 대우하겠다는 말도 있다). 공자는 노나라로 돌아왔다.

 

定公元年壬辰孔子年四十三而季氏强僭其臣陽虎作亂專政故孔子不仕而退修詩, 書, 禮, 樂弟子彌衆.

정공원년임진    공자년사십삼   이계씨강참   기신양호작난전정    고공자불사   이퇴수시,  서,  예, 락 제자미중

노정공 원년 임진년에 공자가 사십삼 세에 이르러 계손씨가 강성하여 참람한 짓을 하고 그의 가신인 양호가 난을 일으켜 정치를 전횡하였다고로 공자는 벼슬을 치사하고 물러나 시, 서, 예, 악을 수련하니 제자가 더욱 늘어났다

 

九年庚子孔子年五十一公山不狃以費畔季氏孔子欲往而卒不行. (有答子路東周語. )

구년경자   공자년오십일    공산불류이비반계씨    소  공자욕왕   이졸불행    유답자로동주어

정공 구년 경자년 공자의 나이 쉰하나가 되자 공산불류가 비읍에서 계손씨에게 반기를 들고 초빙하자 공자가 가려고 하였지만 끝내 가지 않았다. (자로에게 동주東周 만들겠다고 한 말이 있다.)

 

定公以孔子爲中都宰, 一年, 四方則之, 遂爲司空, 又爲大司寇.

정공이공자위중도재     일년  사방즉지   수위사공    우위대사구 

노정공이 공자를 중도재로 삼았는데 일 년 만에 사방에서 본받았다다시 사공을 수행하게 하고 또 대사구를 맡겼다

 

十年辛丑, 相定公會齊侯于夾谷, 齊人歸魯侵地.

십년신축    상정공회제후어협곡    제인귀노침지

노정공 십년, 신축년에 정공이 제후와 협곡에서 회담을 하였는데 제나라에서 노나라를 침략했던 땅을 돌려주도록 하였다

 

十二年癸卯, 使仲由爲季氏宰, 墮三都, 收其甲兵. 孟氏不肯墮成, 圍之不克.

십이년신묘    사중유위계씨재   휴삼도   수기갑병   맹씨불긍휴성   위지불극

노정공 십이년 신묘년에 중유를 계씨의 재로 보내 세 도성을 허물고 그들의 갑병을 거두게 하였다맹손씨가 성을 허무는데 불응하여 포위하였지만 이기지 못하였다

 

十四年乙巳, 孔子年五十六, 攝行相事, 誅少正卯, 與聞國政. 三月魯國大治.

십사년을사    공자년오십육   섭행상사   주소정묘   여문국정   삼월   노국대치

노정공 십사년 을사년 공자 나이 오십육 세에 섭상사가 되고 소정묘를 주살하고 국정을 다스린지 세 달 만에 노나라에 바른 정치가 행해졌다.

 

齊人歸女樂以沮之, 季桓子受之. 郊又不致膰俎於大夫, 孔子行. (魯世家以此以上皆爲十二年事)

제인귀여악이저지    계환자수지   교우불치번조어대부    공자행    노세가이차이피상개위십이년사

제나라 사람들이 여악사를 보내자 저지하였지만 계환자가 여악사를 받았다교제에서 제사를 지낸 후 제사 지낸 고기를 대부에게 보내지 않자 공자는 노나라를 떠났다 (노세가는  위의 세 가지 모두 노정공 십이년의 일이라고 한다). 

 

適衛主於子路妻兄顔濁鄒家. (孟子作顔讎由適陳過匡匡人以爲陽虎而拘之. (有顔淵後及文王旣沒之語)

적위    주어자로처형안탁추가    맹자작안수유    적진   과광  광인이위양호이주기     유안연후급문왕기몰지어

위나라로 가서 자로의 처형인 안탁추의 집에 머물렀다.(맹자 - 안수유진나라로 가다가 광읍을 지날 때 광인들이 양호로 생각하여 구금당하였다. (안연이 뒤쳐지고 문왕이 이미 죽었다고 얘기하였다.) 

 

旣解還衛主蘧伯玉家見南子. (有矢子路及未見好德之語

기해   환위   주거백옥가  견남자     유시자로급미견호덕지어

위로 되돌아와 거백옥의 집에 머물렀고 위영공의 왕비인 남자를 만났다(자로에게 맹세한 것과 덕을 좋아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는 말을 했다

 

去適宋司馬桓魋欲殺之. (有天生德語及微服過宋事

거적송   사마환추욕살지     유천생덕어급미복과송사

송나라로 갔을 때 사마환추가 공자를 죽이려 하였다(하늘이 덕을 내린 것과 미복으로 송나라를 지나갔다.) 

 

又去適陳主司城貞子家居三歲而反于衛靈公不能用. (有三年有成之語)

우거   적진  주사성정자가    거삼세이반어위   영공불능용     유삼년유성지어

다시 진나라로 가서 사성정자의 집에 머물렀다. 삼 년이 지나 다시 위나라로 갔지만 위영공이 등용하지 않았다(삼 년 안에 능히 이루리라는 얘기가 있.) 

 

(註) ①사기(史記)는 태사공서(太史公書)가 원래의 책이름이다. 사마천이 태사의 직위에 있었으므로 책이름을 그의 직을 따서 태사공서라고 하였고 중국 최초의 역사서이다.

②세가(世家)는 태사공서의 한 편명이다. 태사공서는 본기, 세가, 열전, 서, 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기전체라고 하는데, 왕이나 제후의 기록은 세가로 분류하였다. 본기는 천자, 열전은 중요 인물에 대한 기록이다. 공자는 제후가 아니었으나 태사공 사마천이 공자가 포의로 십여세를 전하고 교화의 종주이며 왕후에서 부터 제후에 이르기까지 중국 육예의 종주가 되므로 가히 성인이다 그러므로 세가에 넣는다고 하였다.

③공자의 부친 숙량흘은 무사로 공을 세워 추읍의 대부에 이르렀다. 딸과 몸이 불편한 맹피라는 아들만 두었으므로 열여섯 살 나는 안씨의 막내 딸인 안징재를 취하여 공자를 낳았고 사기에는 야합(野合)이라고 썼다.

④ 사기에는 노자가 아닌 노래자(老萊子)라하여 노자와 다른 사람이다.

⑥ 섭행상사는 재상급의 직급이라 하는데 공자는 이 때 짧은 국정을 운영하게 된다.

⑦ 소정묘는 숙손씨 출신의 유학자로 알려져 있고 공자처럼 교육학당을 운영하던 관리였다고 한다. 공자는 섭상사가 된 지 일주일만에 소정묘를 죽였는데 이후 관리의 기강이 바로 잡혔다고 한다.

⑧ 사마환추는 제자 사마우의 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