收斂身心(수렴신심)이 莫切於九容(막절어구용)하니
所謂九容者(소위구용자)는 足容重(족용중)하며 手容恭(수용공)하며 目容端(목용단)하며
口容止(구용지)하며 聲容靜(성용정)하며 頭容直(두용직)하며
氣容肅(기용숙)하며 立容德(립용덕)하며 色容莊(색용장)이니라.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데 아홉 가지 모양보다 절실한 것이 없다.
소위 구용(九容)이란 발모양은 무겁고 손모양은 공손하고 눈모양은 단정하며
입모양은 다물고 소리의 모양은 조용하며 머리의 모양은 곧고
기운의 모양은 숙연하며 서있는 모양은 덕스럽고 얼굴색은 장중한 것이니라.
(註) 靜(고요할 정), 肅(엄숙할 숙)
進學益智(진학익지)가 莫切於九思(막절어구사)하니
所謂九思者(소위구사자)는 視思明(친사명)하며 聽思聰(청사총)하며 色思溫(색사온)하며
貌思恭(모사공)하며 言思忠(언사충)하며 事思敬(사사경)하며
疑思問(의사문)하며 忿思難(분사난)하며 見得思義(견득사의)니라.
배움이 나아가고 지혜를 더하는 데는 구사(九思)보다 절실한 것이 없다.
이른바 구사란 밝게 보기를 생각하고, 들을 때 총명하기를 생각하고, 얼굴 빛은 따뜻하기를 생각하고,
용모는 공손하기를 생각하며, 말은 충직하기를 생각하고, 섬기는 일에는 공경하기를 생각하고,
의심이 날 때는 묻기를 생각하고, 분할 때는 어려움을 생각하며, 이득을 보았을 때는 올바른 것을 생각하는 것이니라.
(註) 聰(귀밝을 총), 貌(모양 모), 疑(의심 의), 忿(성낼 분)
구용(九容)과 구사(九思)
구용은 예기(禮記) 옥조편(玉藻篇)에 나오는 것으로 아홉 가지의 바른 몸가짐을 말한다.
구사는 논어 계씨편에 나오는 공자의 군자가 생각해야 할 아홉 가지를 말한다.
구사와 구용에 대해 이율곡은 격몽요결 지신장에서 항상 곁에 붙여놓고 명심하여 실천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右(우)는 人篇(인편)이라.
이상은 인편이다
'계몽편 - 종합학습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몽편 - 인편(人篇) - #6 (0) | 2022.01.22 |
---|---|
계몽편 - 인편(人篇) - #5 (0) | 2022.01.21 |
계몽편 - 인편(人篇) - #4 (0) | 2022.01.21 |
계몽편 - 인편(人篇) - #3 (0) | 2022.01.20 |
계몽편 - 인편(人篇) - #2 (0) | 2022.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