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48

대학(大學) 경문일장 (經文 一章) #5 - 격물이후 지지

物格而后에 知至하고 격물이후 지지 사물을 연구한 뒤에야 지식에 도달하게 되고, 知至而后에 意誠하고 지지이후 의성 지식에 이르게 된 후에야 뜻이 성실해지고, 意誠而后에 心正하고 의성이후 심정 뜻이 성실해진 후에야 마음이 바르게 되고, 心正而后에 身修하고 심정이후 수신 마음이 바르게 된 후에야 자신을 닦을 수 있으며, 身修而后에 家齊하고 수신이후 가제 자신을 닦은 후에야 가정을 바르게 다스릴 수 있으며, 家齊而后에 國治하고 가제이후 국치 가정을 바르게 다스린 후에야 나라를 다스릴 수 있고, 國治而后에 天下平이니라 국치이후 천하평 나라를 다스린 후에야 천하를 평안하게 할 수 있다. (註2) 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는 대학의 도로 천명한 삼강령 즉, 명명덕, 친민, 지어지선을 완..

대학 2023.03.03

대학(大學) 경문일장 (經文 一章) #4 - 치지 재격물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는 先治其國하고 고지욕명명덕어천하자 선치기국 옛날 천하에 밝은 덕을 밝히려는 사람은 먼저 그 나라를 다스리고, 欲治其國者는 先齊其家하라 욕치기국자 선제기가 그 나라를 다스리려는 사람은 먼저 그의 집안을 다스리고, 欲齊其家者는 先修其身하고 욕제기가자 선수기신 그의 집안을 다스리려는 사람은 먼저 그 자신을 수양하고, 欲修其身者는 先正其心하며 욕수기신자 선정기심 그 자신을 수양하려는 사람은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고, 欲正其心者는 先誠其意하고 욕정기심자 선성기의 그 마음을 바르게 하려는 사람은 먼저 그 뜻을 성실하게 하고, 欲誠其意者는 先致其知하며 욕성기의자 선치기지 그 뜻을 성실하게 하려는 사람은 먼저 그 지식을 지극하게 이룬다. 致知는 在格物하니라 치지 재격물 지식을 지극하게 이루는 것..

대학 2023.03.02

대학(大學) 경문일장 (經文 一章) #3 - 물유본말 사유종시

物有本末하고 事有終始하니 물유본말 사유종시 만물에는 근본과 말단이 있으며, 모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다. 知所先後면 則近道矣니라 지소선후 즉근도의 일을 선과 후에 할 바를 알면 큰 배움의 도에 가까운 것이다. (註1) 終(마칠 종), 始(비로서 시) (註2) 명덕은 본(本)이고 신민은 말(末)이다 (명덕위본, 신민위말 明德爲本, 新民爲末). 그리고 지지, 즉, 경지에 이르도록 배우는 것이 시작이며 (지지위시 知止爲始),능히 깨우쳐 얻는 것이 종이다 (능득위종 能得爲終). 근본적으로 시가 먼저이며, 마지막으로 종이 뒷 일이다 (본시소선, 말종소후本始所先, 末終所後). 이 문장은 위의 두절구의 의미를 결혼적으로 말한 것이다 (차결상문량절지의 此結上文兩節之意). (註3) 만물에 근본과 말단이 있고 일에는 끝..

대학 2023.03.01

대학(大學) 경문일장 (經文 一章) #2 - 지지이후 유정

知止而后는 有定이니 지지이후 유정 배우는 것을 이루고 난 뒤에야 근본을 정할 수 있고, 定而后에 能靜하며 靜而后에 能安하며 정이후 능정 정이후 능안 근본을 정하고 난 뒤에 흔들리지 않으며, 흔들리지 않은 뒤에 안정할 수 있다. 安而后에 能慮하며 慮而后에 能得이니라 안이후 능려 려이후 능득 안정하고 난 뒤에는 깊이 생각할 수 있으며, 깊이 생각하고 난 뒤에 큰 배움의 도를 터득할 수 있다. (註1) 而(어조사 이 그리고,그러나,~하면서,만약,뿐), 后(임금 후,황후,토지신,뒤=後), 定(정할 정,정하다,안정시키다,반드시,安也), 靜(고요할 정), 慮(생각할 려) (註2) 지는 마땅히 이르러야 할 곳이며 (지자, 소당지지지 止者, 所當止之地), 즉 지선이 있는 곳이다 (즉지선지소재야 卽至善之所在也). 그런 ..

대학 2023.02.28

대학(大學) 경문일장 (經文 一章) #1 - 대학지도 재명명덕

大學之道는 在明明德하며 在親民하며 在止於至善이니라 대학지도 재명명덕 재친민 재지어지선 큰 배움의 도는 밝은 덕을 밝게 하는 데 있으며, 백성을 친애하고, 지극한 선에 이르도록 하는 데 있다. (註1) 明德(밝은 덕), 親(친할 친), 止(그칠 지,그만두다,머무르다), 於(어조사 어,~에 대하여), 至(이를 지) (註2) 대학의 첫 장구에 나오는 재명명덕,재친민,재지어지선을 대학의 세 강령(三綱領)이라고 한다. 명덕(明德)은 밝은 덕을 말하는데 주희는 하늘에서 받은 것으로 명명덕(明明德)은 복기초(復其初)라고 풀어 처음으로 되돌아 가는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덕, 승야(德, 升也)라 하여 바른 마음으로 올라가는 것이라 한다. 주희는 친민(親民)은 또한 신민(新民)을 잘못 쓴 것이라 하였고 주자학을 배우는 사..

대학 2023.02.27

대학(大學) - 대학장구 (大學章句)

子程子曰 大學, 孔氏之遺書而初學入德之門也. 於今, 可見古人爲學次第者, 獨賴此篇之存. 而論孟次之, 學者必由是而學焉, 則庶乎其不差矣. 자정자가 말하기를 대학은 공씨의 남긴 글이며 초학자들이 처음 덕에 대해 입문하는 것이다. 지금에 이르러서 옛 사람들이 학문을 하였던 순서를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이 책편이 있기 때문이다. 논어와 맹자는 그 다음에 배워야 할 것이고, 배우는 사람은 반드시 이로 말미암아 배우면 거의 틀림이 없다.

대학 2023.02.26

대학(大學) - 독대학법 (讀大學法)

朱子曰, 語孟隨事問答, 難見要領, 惟大學, 是曾子述孔子說古人爲學之大方. 而門人, 又傳述以明其旨, 前後相因, 體統都具, 玩味此書, 知得古人爲學所向, 却讀語孟, 便易入, 後面工夫雖多, 而大體已立矣. 주자가 말하기를 ‘논어와 맹자는 일에 따라 문답을 하여,요령을 터득하기 어려우나 오직 대학은 증자가 공자께서 옛사람의 학문을 하던 큰 방법을 얘기한 것을 풀어 쓴 것이며, 문인들이 다시 전술하여 그 의미를 밝힌 것이다. 전후가 서로 인과관계가 있고 체제와 계통이 갖추어져 있으니, 이 책을 완미하면 옛 사람이 학문하면서 지향했던 바를 알게 되며, 논어와 맹자를 읽게 되면 곧 쉽게 입문할 수 있다. 후면을 공부해야 할 것이 많지만 큰 체계를 세울 수 있다.’고 하였다. 看這一書, 又自與看語孟不同, 語孟中, 只一項事 ..

대학 2023.02.25

대학(大學) - 서문 (序文)

대학(大學)은 공자의 사상을 진술하고 후학들이 기록한 책이다. 증자(曾子)와 그의 문도(門徒)들에 의해 쓰여진 대학은 본래 예기(禮記) 42편으로 있던 것을 주희가 분리하여 별권의 책으로 독립시킨 것이다. 주희(朱熹)는 예기 31편의 중용을 다시 분리하여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四書)를 만들고 이에 주해를 달아 사서집주(四書集註)를 완성함으로써 사서체제를 만들었다. 주희에 의해 종래의 유학이 재정리 된 것이다. 다만 주희는 예기에서 대학과 중용을 분리하면서 자신의 견해에 따라 이를 수정하여 예기의 원문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게 되었다. 대학은 경(經)과 전(傳)으로 되어있다. 주희는 강고왈 극명덕(康誥曰 克明德) 이전은 공자의 말로 경(經)이라 하였고, 그 이후는 증자가 이를 풀이한 것으로 전(傳)이라고..

대학 2023.02.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