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소학(小學) 가언제오(嘉言第四) #19

몽그림 2024. 10. 8. 06:59

羅仲素論瞽瞍底豫而天下之爲父子者定,

라중소    논고수저예이천하지위부자자정      운

라중소가 맹자에 나오는 고수가 기뻐하자 천하의 부자관계가 안정되엇다는 것을 논하여 이르기를,

 

只爲下無不是底父母.

하무불시저부모

다만 천하에 옳지 않은 부모는 없다 라고 하였다.

 

了翁聞而善之曰,  唯如此而後天下爲父子者定,

옹문이선지왈     유여차이후천하지위부자자정

료옹이 듣고서 훌륭한 논평이라고 여겨 말하길오직 이같이 생각한 뒤에 천하의 부자관계는 안정될 수 있다.

 

彼臣弑其君,  子弑其父,  常始於見其有是處耳.

        시처이

신하가 그의 임금을 시해하고, 아들이 그의 아버지를 시해하는 것은 처음에 임금이나 아버지에게 옳지 않은 점이 있다고 본데서 비롯된다 라고 하였다.

 

(1) (그물 라), (소경 고), (소경 수), (밑 저,이룰 지), (미리 예,펼 서), (어르신네 옹), (죽일 시)

 

(2) 주희가 지은 이락연원록(伊落淵源錄) 나온다나중소는 이름은 종언(從彦)이며, 시호는 문질(文質), 예장선생(豫章先生)으로 알려진 인물이다북송말기의 유학자로 이정자의 수제자에게 이학을 배워 학문을 후학을 거쳐 주희에게 전한 역할을 하였다요옹은 요재선생으로 알려진 진관(陳瓘) 말한다고수는 순임금의 아버지로 순의 어머니가 죽자 후처를 맞아 상이라는 순의 이복동생을 낳았다맹자는 그의 저서에서 순은 동이사람이라고 썼는데, 순이 동이 사람이었다는 여러 가지 설은 지금도 전해 온다순의 아버지 고수가 고조선의 농업을 담당하는 신하로 있었는데, 우리가 지금 야외에서 치르는 고수례가 그로 인해 비롯되었다는 것이다신화 속에 가두워진 요순의 선양에 대해서는 고증할 수 없다순의 아버지가 완고하고 계모와 이복동생이 음험하여 항상 순을 해치려 하였지만 순은 효성을 지극히 하여 그의 부모를 기뻐할 때까지 지극히 모셨고 왕위에 오른 후 그의 이복동생 상을 지방의 장관으로 보내줬다는 얘기를 논한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