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소학(小學) 가언제오(嘉言第四) #5

몽그림 2024. 8. 4. 03:58

伊川程先生曰敎人未見意趣必不樂學,  且敎之歌舞.

이천정선생왈    교인    미견의    필불학    차교지가무

이천 정선생이 말하길사람을 가르치되 그의 뜻과 취지를 알지 못하면 배우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 것이니 노래와 춤을 가르쳐야 한다.

 

古詩三百篇皆古人作之,  如關雎之類正家之始.

여고시삼백편    개고인작지    여관저지류    정가지시

시경에 나오는 옛 시 삼백 편은 모두 옛사람이 지은 것으로 관저와 같은 노래는 집안을 바로잡는 시초가 된다.

 

之鄕人用之邦國日使人聞之.

용자향인    용지방국    일사인문지

그러므로 시골에 있는 사람에게도 쓰고 나라에도 쓰고 하여 매일 듣게끔 하였다.

 

此等詩,  其言簡奧,  今人未易曉.

      금인미역효

이와 같은 시는  그 언어가 간략하고 의미가 심오하여 지금 사람들은 쉽게 깨닫지 못한다.

 

別欲作詩,  略言敎童子灑掃應對事長之節,  今朝夕歌之,  似當有助.

별욕작시    약언교동자쇄소응대사장지절      금조석가지    사당유조

별도로 시를 짓고자 한다면, 어린 아이들이 물 뿌리고 소제하며 다른 사람을 응대하고 연장자를 섬기는 절을 간략하게 가르칠 수 있도록 말을 써서 아침 저녁으로 노래를 부르게 하면 당연히 도움이 될 것이다 라고 하였다.

 

(1) (재미 ), (빗장 관), (물수리), (아랫목 오), (뿌릴 쇄), (쓸 소), (도울 조)

 

(2) 이정전서에 나오는 글이다. 이천선생은 정이(程頤) 말하고, 자는 정숙(正叔)이며, 말년에 이수에서 은거하였으므로 이천선생이라 불린다형과 함께 이정자로 불리며 이학(理學)을 창시하고 사서(四書)를 중시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