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소학(小學) 가언제오(嘉言第四) #6

몽그림 2024. 8. 8. 03:03

陳忠肅公曰幼學之士先要分別人品之上下.

진충공왈     유학지사    선요분별인품지상하

진충숙공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어릴 때 배우고자 하는 사람은 먼저 인품이 높고 낮음을 분별해야 한다.

 

何者賢所爲之事何者是下愚所爲之事,  向善背惡.

성현소위지사     하자시하우소위지사     향선배악

어떤 것이 성현이 하는 일이고 어떤 일이 어리석은 사람이 하는 일인지를 알아서 악을 등지고 선으로 향해야 한다.

 

此幼學所當先也.

차    차유학소당선야

그래서 악을 버리고 선을 취해야 한다이것이 어린 학생이 먼저 배워야 할 바다.

 

顔子孟子亞聖也,  學之雖未至,  亦可爲賢人.

         역가위현인

안자와 맹자는 성인에 버금가는 사람인데그들과 같이 되려고 배우면 비록 그처럼 같은 경지에 이르지 못해도 현인은 될 수 있다.

 

今學者,  若能知此,  則顔孟之事,  我亦可學.

           

지금 배우는 사람이 이런 도리를 안다면 안자와 맹자가 한 일을 누구든지 배울 수 있다.

 

溫而氣和則顔子之不遷漸可學矣.

언온이기화     즉안자지불천    점가학의

말이 온화하고 기운이 화평하면 안자가 말했던다른 사람에게 겨서 성내지 않는 태도를 점차 배울 수 있고,

 

過而能悔,  則顔子之不貳漸可學矣.

    탄개    즉안자지불이    점가학의

잘못을 뉘우치고 또 고치기를 꺼리지 않는다면 안자가 말한 같은 잘못을 두 번 저지르지 않는 신중함도 점차로 배울 수 있다.

 

知埋鬻之戱,  不如俎豆,  今慈母之愛至於三遷,

지매육지    불여조두    금자모지애     지어삼천

매장을 하고 물건을 파는 놀이가 제사지내는 놀이만 같지 못한 것을 알고 자애로운 어머니의 사랑이 좋은 교육환경을 찾아 세 번이나 집을 옮기기에 이른 것을 기억한다면,

 

自幼至老,  不厭不改,  終始一意,  則我之不動心亦可以如孟子矣.

            즉아지부동심    역가이여맹자의

그리고 더 나아가 평생 한결같이 배우기를 싫어하지 않고 자신의 의지를 바꾸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이 생각한다면 자신의 부동심은 맹자와 같아질 수 있다.

 

若夫立志不高,  皆常人之事.

약부지불고     즉기학   개상인지사

만약 뜻이 높지 않으면 배우는 것은 모두 범상한 사람과 같아진다.

 

語及顔孟,  則不敢當也,  其心必曰,  孩童,  豈敢學顔孟哉.

            위해동    기감학안맹재

다른 사람이 안자나 맹자에 대해 말하면 감당치 못하여 반드시 마음속으로 나는 어린아이에 불과하니 어떻게 안자나 맹자에게 배울 수 있단 말인가 라고 말 할 것이다.

 

此人不可以語上矣.  先生長者其卑下,  豈肯與之語哉.

     자       

이러한 사람에게 뛰어난 사람에 대한 얘기를 말해줄 수 없다선생이나 연장자가 그의 비루한 인품을 보고 어떻게 그와 더불어 얘기하기를 좋아하겠는가?

 

先生長者不肯與之語與語,  皆下等人也.

선생장자    불여지어    즉기   

선생이나 연장자와 함께 얘기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 그가 함께 말하는 사람은 모두 품격이 낮은 사람일 것이다.

 

言不忠信下等人也行不篤敬等人也.

언불충신    하등인야    행불독경   

말이 진실하지 않고 믿음이 없으며행실이 독실하지 않고 신중하지 않는 사람은 품격이 낮은 사람이다.

 

過而不知悔下等人也悔而不知改下等也.

과이불지회    하등인야    회이불지개    하등인야

잘못을 저지르고도 뉘우침이 없고, 뇌우치더라도 고치지 않는 사람은 품격이 낮은 사람이다.

 

聞下等之語爲下等之事譬如坐於房舍之中四面皆墻壁也.

문하등지어    위하등지사     비여좌어방사지중    사면

품격이 낮은 사람의 말을 듣고품격이 낮은 일을 하는 것을 비유하면 사면이 모두 담으로 둘러싸인 방안에 앉아 있는 것과 진배 없다

 

雖欲開明不可得矣.

수욕개명    불가득의

즉, 문을 열어서 밝게하려 하여도 할 수가 없다.

 

(1) (점점 점), (꺼질 탄), (죽 죽,기를 국,어릴 국,팔 육),(도마 조), 俎豆(조두-제사 때 신위 앞에 놓는 나무로 만든 그릇), (어린아이 해), (담장 장), (바람벽 벽), 不遷(=不遷怒- 노여움을 옮기지 않는 것.), 不貳(=不貳過-허물을 고치고 두 번 다시 하지 않는 것), 埋鬻之(매육지희-무덤을 쓰기 위해 묻고 파는 행위)

 

(2) 요옹집(了翁集) 나오는 글이다충숙공은 송나라 유학자로 이름은 진관(陳瓘)이며, 자는 영중(塋中), 호는 료옹(了翁)이다태학박사를 지냈으며, 요옹역설(了翁易說)이라는 저서가 있고, 요재선생(了齎先生)이라고 불렸다사마광에게 배웠고, 이정자에게도 배웠다안자는 공자의 제자 안회이다. 안자와 맹자는 문묘에 아성으로 배향되어 있다여기서 말하는 성인은 공자를 말한다삼천(三遷) 맹자의 어머니가 맹자의 교육을 위해 무덤 옆에서 시장으로, 다시 학교 옆으로 세 번 이사한 것을 말한다안회는 불천노(不遷怒), 즉 성내는 것을 이리저리 옮기지 않는 어진 덕성을 실천한 인물로 공자도 제자인 안회의 이러한 어진 덕성을 칭찬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