劉康公成肅公會晉侯, 伐奏.
유강공성숙공회진후 벌진
유강공과 성숙공이 진후와 회맹하여 진나라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成子受脤于社, 不敬.
성자수신우사 불경
성숙공이 사제에서 썼던 제사고기를 받을 때 불경하였다.
劉子曰, 吾聞之, 民受天地之中, 以生, 所謂命也.
유자왈 오문지 민수천지지중 이생 소위명야
유자가 말하길, 내가 들으니 사람은 천지의 가운데서 기운을 받아 태어났으니 이를 소위 명이라고 한다.
是以有動作禮義威儀之則, 以定命也.
시이유동작례의위의지칙 이정명야
이런 연유로 동작과 예의, 위의의 법칙이 있어서 천명이 정해지는 것이다.
能子養之以福, 不能者敗以取禍.
능자양지이복 불능자패이취화
능히 이를 하는 사람은 천명을 기르니 복을 받고, 능히 하지 못하는 사람은 화를 취하게 된다.
是故君子勤禮, 小人盡力.
시고군자근례 소인진력
이러므로 군자는 예를 지키는데 부지런하며, 소인은 일하는데 진력한다.
勤禮莫如敦敬, 盡力莫如敦篤.
근례막여돈경 진력막여돈독
예를 부지런히 실천하는 것은 공경하는 것을 돈독하게 하는 것보다 더나은 것이 없고, 힘써 일하는 것은 자신을 돈독하게 하는 것 보다 나은 것이 없다.
敬在養神, 篤在守業.
경재양신 독재수업
공경하는 마음은 신을 받드는 것이고,돈독하게 하는 것은 본업을 지키는데 있다.
國之大事, 在祀與戎, 祀有執膰, 戎有受脤, 神之大節也.
국지대사 재사여융 사유집번 융유수신 신지대절야
나라의 큰 일은 제사와 전쟁인데, 제사를 올린 후 제사고기를 받거나 전쟁 때 제사고기를 받는 일은 신을 섬기는 큰 예절이다.
今成子惰. 棄其命矣, 其不反乎.
금성자타 기기명의 기불반호
지금 성숙공이 제사고기를 받는 태도가 공경하는 것을 게을리 하였다. 이는 자신의 명을 버린 것이니, 그는 이번 전쟁에서 살아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 라고 하였다.
(註1) 康(편안할 강), 肅(엄숙할 숙), 伐(칠 벌), 脤(제육 신), 取(취할 취), 勤(부지런할 근), 敦(도타울 돈), 篤(도타울 독), 祀(제사 사), 戎(되 융), 膰(제사고기 번), 惰(게으를 타), 棄(버릴 기)
(註2) 유강공은 유라는 작은 나라의 소제후였고, 성숙공은 성읍의 숙공이다. 당시 강력한 제후국인 진나라 여공과 함께 회맹하고 서쪽의 제후국인 진나라를 치기로 하고 제사를 올릴 때 성숙공의 경건하지 못한 모습을 유강공이 지적한 것이다. 좌전에 나오는 글이다. 진여공(晉厲公)은 언릉전투에서 초나라 공왕을 대패시키며 기세를 올렸지만 국내의 대부들에 의해 후일 독살된 인물이다. 진경공의 아들인 여공은 이후 미색에 빠져 여러 총희를 거느리고, 총희의 인척들에게 권력을 주고 대부를 내쫒는 등 교만과 사치에 빠졌다. 진나라 대부들과 갈등관계에 이르고 결국은 대부인 난서와 중행언에게 독살당하였다. 신은 출진에 앞서 사직에 올리는 제사에 쓰는 고기를 말하고, 번은 제사고기로 신에게 올리는 고기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전쟁에 출진을 할 때는 반드시 천토의 신에게 장중한 제사를 올리고 승리의 기원을 하였다. 이러한 의식으 자기 군대의 사기를 올리고 명분이 있음을 뚜렸이 하기 위한 것으로 의식절차에 예를 다하였다. 회맹제후들이 함께 제육과 술을 올리고 맹서를 하는 절차이기도 하다.
'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小學) 가언제오(嘉言第四) #1 (3) | 2024.07.26 |
---|---|
소학(小學) 계고제사(稽古第四) #48 (0) | 2024.07.18 |
소학(小學) 계고제사(稽古第四) #46 (1) | 2024.07.16 |
소학(小學) 계고제사(稽古第四) #45 (1) | 2024.07.15 |
소학(小學) 계고제사(稽古第四) #44 (2) | 2024.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