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소학(小學) 계고제사(稽古第四) #44

몽그림 2024. 7. 14. 03:29

文伯退朝朝其母,  母方續.

공보문백조    조기모    기모방적

공보문백이 조정에서 물러나와 그 어머니를 뵈었는데 마침 어머니가 길쌈을 하고 있었다.

 

伯曰歜之家而績乎.

    

문백이 말하기를촉의 집안의 안주인께서 아직 길쌈을 하시다니요 라고 하였다.

 

其母嘆曰魯其亡乎,  使僮子備官而未之聞邪.

기모탄왈     노기망호   사동자비관    이말지문사

그의 어머니가 탄식하여 말하길노나라가 망하려는가철없는 아이에게 관직을 주고서는 아직 사특한 것이 무엇인지 알려주지 않았구나.

 

吾語女民勞則思,  思則善心生逸則淫.

거    오어녀   민노즉사    사즉선심생    일즉음

게 앉거라내가 너에게 말해주마백성들이 일을 하면 생각하기 마련이고,생각하면 선한 마음이 생겨나지만 편안하기만 하면 음란하게 된다.

 

淫則忘善,  忘善則惡心生.

    망선즉악심생

음란하면 선한 것을 잊고선한 것을 잊으면 악한 마음이 생겨나느니라.

 

沃土之民不材淫也,  瘠土之民莫不嚮.

     노야

비옥한 땅에 살면서 재주가 없는 것은 음란하기 떄문이고척박한 땅에 살아도 의롭게 향할 수 있는 것은 일을 하기 때문이다.

 

是故王后親織玄紞,  公候之夫人加以紘綖,

시고왕후친직현담     공후지부인가이

이런고로 왕후가 직접 왕이 쓰는 면류관에 드리우는 끈을 짜고공후의 부인은 여기에 더하여 면류관 매는 끈과 면류관 덮개를 만드는 것이다.

 

子爲大帶,  命婦成祭服,  列士之妻加之以朝服,  以下皆衣其夫.

경지내자위대대     명부성제복    열사지처가지이조복     자서사이하개의기부

또한 경의 부인은 여기에 더하여 큰 띠를 만들고 대부의 아내는 여기에 더하여 지아비의 제복을 만든다원사의 아내는 여기에 더하여 조복까지 만들고, 하사 이하의 아내는 지아비가 입을 옷을 만든다.

 

社而賦事,  烝而獻功,  男女效績,  有辟古之制也.

            유벽고

봄 제사를 지낼 때는 해야 할 일을 분담하고, 겨울 제사 때는 수확한 것을 바치고 남녀가 일 년 동안의 실적을 밝혀보고 허물이 있으면 벌을 받는 것이 옛 제도 이니라.

 

吾冀而朝夕修我曰必無廢先人爾今,  胡不自安.

오기이조석수아왈    필무폐선인    이금   

나는 네가 조석으로 나를 경계하며 반드시 선인의 법도에 어긋남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하길 바랬노라지금 네가 말하길스스로 편안하게 하지 않느냐고 하였다.

 

以是承君之官子懼穆伯之絶嗣也.

이시승군지관     여구목백지절사야

이러한 마음가짐으로 임금이 하사한 벼슬을 이어받으면 네 아버지인 목백의 후사가 끊어질까 봐 두렵구나 라고 하였다.

 

(1) (길쌈할 적), (화낼 촉), (아이 동), (갖출 비), (간사할 사), (일 할 노), (편안할 일), (물댈), (파리할 척), (향할 향), (짤 직), (귀막이끈), (갓끈 ), (면류관 싸개 연), (구실 부), (바칠 헌), (허물 건), (바랄 기), (두려워할 구), (화목할 목), (끊을 절), (이을 사), 社祭(사제-봄제사), 蒸祭(증제-겨울 제사)

 

(2) 국어(國語) 노어편(魯語篇) 나오는 글이다공보문백은 노나라의 대부이다. 그의 어머니는 경강(敬姜)으로 현모(賢母)의 대명사로 불린다. 국어는 춘추시대 춘추오패와 제후를 보좌한 신하들의 얘기를 쓴 책으로 주(周), 노(魯), 제(齊), 진(晉), 정(鄭), 초(楚), 오(吳), 월(越)의 여덟개 제후국을 다루고 있다여자들의 가정을 이끄는 자세와 올바른 내조, 그리고 자식에 대한 교만을 경계하는 글로 소개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