王天下有三重焉, 其寡過矣乎!
왕천하유삼중언 기과과의호
왕으로 천하에 군림하는 사람에게 세 가지 중요한 것이 있으니, 그것을 행하면 허물이 적어질 수 있다.
上焉者雖善, 無徵. 無徵, 不信. 不信, 民弗從.
상언자수선 무징 무징 불신 불신 민불종
윗 시대 사람들은 비록 선하였지만 증명할 수 없고, 증명할 수 없으니 믿기 어렵다. 믿음이 없으니 백성이 따르지 않는 것이다.
下焉者雖善, 不尊. 不尊, 不信. 不信, 民弗從.
하언자수선 불존 불존 불신 불신 민불종
아래 시대의 사람들은 비록 선하기는 하지만,존엄함이 없고, 존엄하지 않으니 믿음이 없다. 믿음이 없으니 백성이 따르지 않는 것이다.
故君子之道, 本諸身, 徵諸庶民.
고군자지도 본저신 징저서민
그러므로 군자의 도는 자신을 근본으로 삼아, 서민들에게 증명해 보여야 하고,
考諸三王而不繆, 建諸天地而不悖, 質諸鬼神而無疑, 百世以俟聖人而不惑.
고저삼왕이불류 건저천지이불패 질저귀신이무의 백세이사성인이불혹
삼왕의 도를 고증하여 어긋남이 없도록 하고, 천지에 도를 세워 거슬리는 일이 없도록 하며, 귀신에게 물어도 의심이 없도록 하여,백세에 이르도록 성인을 기다려도 미혹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質鬼神而無疑, 知天也, 百世以俟聖人而不惑, 知人也.
질귀신이무의 지천야 백세이사성인이불혹 지인야
귀신에 물어도 의심이 없는 것은 하늘의 이치를 아는 것이고, 백세 이후의 성인을 기다려도 미혹되지 않는 것은 사람을 아는 것이다.
是故君子動而世爲天下道, 行而世爲天下法, 言而世爲天下則.
시고군자동이세위천하도 행이세위천하법 언이세위천하칙
이런고로 군자는 행동하는 것이 세세로 천하의 도가 되고, 실행하는 것은 천하의 법이 되며, 말을 하는 것은 천하의 기준이 된다.
遠之, 則有望, 近之, 則不厭.
원지 즉유망 근지 즉불염
사람들과 멀리 있으면 우러름을 받고, 가까이 있어도 싫어하지 않는다
詩曰, 在彼無惡, 在此無射, 庶幾夙夜, 以永終譽.
시왈 재피무오 재차무역 서기숙야 이영종예
시경에, 저 곳에 있어도 싫어하지 않고, 여기에 있어도 미워하지 않으니, 밤낮으로 영원히 명예롭게 결론을 짓게 된다.
君子未有不如此, 而蚤有譽於天下者也.
군자미유불여차 이조유예어천하자야
군자가 이처럼 하지 않고서 천하의 명예를 날린 사람은 아직 없었다.
(註1) 寡(적을 과),謬(그릇될 류),悖(어그러질 패), 俟(기다릴 사),射(쏠 사, 싫어할 역),夙(일찍 숙),譽(기릴 예), 蚤(벼룩 조)
(註2) 여대림은 삼중은 의례와 제도, 고문을 일컫고, 오로지 천자가 그것을 실행하는 것을 깨달으면, 나라의 정치는 다르지 않고,가문의 풍속이 다르지 않으며, 사람들의 허물이 적게 된다 라 말하였다 (여씨왈, 삼중, 위의례제도고문, 유천자득이행지, 즉국불리정, 가불수속, 이인득과과의 呂氏曰, 三重, 謂議禮制度考文, 惟天子得以行之, 則國不異政, 家不殊俗, 而人得寡過矣). 상언자란 당시의 왕 이전을 이르는 것이니 하나라와 상나라의 예가 비록 훌륭하지만 상고할 수 없는 것과 같고, 하언자는 성인으로 아래에 있는 것을 이르는 것이니 공자가 비록 예에 울륭해도 존위에 있지 않았던 것과 같다 (상언자, 위시왕이전, 여하상지례, 수선이개불가고, 하언자, 위성인재하, 여공자, 수선어례, 이불재존위야 上焉者, 謂時王以前, 如夏商之禮, 雖善而皆不可考, 下焉者, 謂聖人在下, 如孔子, 雖善於禮, 而不在尊位也). 여기서 군자는 천하에 왕 노릇을 하는 사람을 가리켜 말하고 (차군자, 지왕천하자이언 此君子, 指王天下者而言), 그 도는 곧 의례, 제도, 고문에 관한 일이다 (기도, 즉의례제도고문지사야 其道, 則議禮制度考文之事也). 본저신은 그 덕을 소유하는 것이며 (본저신, 유기덕야 本諸身, 有其德也), 징저서민은 그들이 믿고 따르도록 증명해 보이는 일이다 (징저서민, 험기소신종야 徵諸庶民, 驗其所信從也). 건은 설 립이고 여기에 세워놓고 저기에서 참고하게 하는 것이다 (건, 립야, 립어차이참어피야 建, 立也, 立於此而參於彼也). 천지는 도이고 귀신은 조화의 흔적이다 (천지자, 도야, 귀신자, 조화지적야 天地者, 道也, 鬼神者, 造化之迹也). 백세이사성인이불혹 은 소위 성인이 다시 일어나도 내 말을 바꾸지 않을 것이란 뜻이다 (백세이사성인이불혹, 소위성인복기, 불역오언자야 百世以俟聖人而不惑, 所謂聖人復起, 不易吾言者也). 지천지인은 그 이치를 안다는 것이다 (지천지인, 지기리야 知天知人, 知其理也). 동은 언행을 겸한다는 말이고, 도는 법칙을 겸한다는 말이다 (동겸언행이언, 도겸법즉이언 動兼言行而言, 道兼法則而言). 법은 법도이고, 칙은 준칙이다 (법, 법도야, 칙, 준칙야 法, 法度也. 則, 準則也). 시는 주송 진로편이다 (시, 주송진로지편 詩, 周頌振鷺之篇). 역은 싫어하는 것이다 (역, 염야 射, 厭也). 소위차자는 본저신 아래의 여섯 가지 일을 가리켜 한 말이다 (소위차자, 지본所謂此者, 指本諸身以下六事而言).
주송 진로편은 시경의 주송 신공지십 (周頌 臣工之什)에 나온다.
진로(振鷺) - 날아가는 백로
振鷺于飛, 于彼西雝, 我客戾止, 亦有斯容,
在彼無惡, 在此無斁, 庶幾夙夜, 以永終譽.
백로 무리가 날아서 저 서편 옹택으로 가누나. 우리 손님이 오셨는데 백로같은 위용일세.
저기서도 싫어하지 않고, 여기서도 미워하지 않으니 바라건대 밤낮으로 그 명예 영원하리라.
이는 주나라가 제후국으로 봉했던 기나라와 송나라를 손님으로 여겼고, 천자국인 주나라에 제사에 참여하러 온 기와 송나라 대부들을 노래한 것이다. 이상은 제 이십구장이고 위의 문장을 이어 거상불교를 설명한 것이니 역시 인간의 도리를 설명하였다 (우제이십구장, 승상장거상불교이언, 역인도야 右第二十九章, 承上章居上不驕而言, 亦人道也).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中庸) 삼십일장(三十一章) - 현이민막불경 언이민막불신 행이민막불열 (0) | 2023.05.25 |
---|---|
중용(中庸) 삼십장(三十章) - 소덕천류 대덕돈화 (2) | 2023.05.23 |
중용(中庸) 이십팔장(二十八章) - 우이호자용 천이호자전 (3) | 2023.05.20 |
중용(中庸) 이십칠장(二十七章) - 온고이지신 돈후이숭례 (2) | 2023.05.19 |
중용(中庸) 이십육장(二十六章) - 고지성무식 (1)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