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4편 헌문(憲問)
삼왕과 이패 제후와 대부의 행적등을 기록하였다.
論三王二霸之跡, 諸侯大夫之行, 為仁知恥, 脩已安民, 皆政之大節也, 故以類相聚, 次於問政也.
논삼왕이패지적, 제후대부지행, 위인지치, 수이안민, 개정지대절야, 고이류상취, 차어문정야
憲問恥. 子曰, 邦有道, 穀, 邦無道, 穀, 恥也.
헌문치 자왈 방유도 곡 방무도 곡 치야
원헌이 수치를 물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라에 도가 있어도 녹을 받고 나라에 도가 없어도 녹을 받는 것이 수치이다.’라고 하셨다.
克伐怨欲 不行焉, 可以爲仁矣?
극벌원욕 불행언 가이위인의
원헌이 묻기를 ‘이기고 자랑하고 원망하고 바라는 것을 하지 않으면 가히 인을 실행한다고 하겠습니까?’라고 하였다.
子曰, 可以爲難矣, 仁則吾不知也.
자왈 가이위난의 인즉오불지야
공자께서 대답하시기를 ‘가히 하기도 어렵지만 어진 것인지는 내가 알지 못한다.’라고 하셨다.
(註1) 穀(곡식 곡), 克(이길 극), 伐(칠 벌,자랑할 벌), 怨(원망할 원), 欲(바랄 욕)
(註2) 헌(憲)은 원사의 이름이고 (헌, 원사명 憲, 原思名), 곡은 록을 말한다 (곡, 록야 穀, 祿也). 나라에 도가 있을 때 할 일을 능히 하지 못하고 (방유도불능유위 邦有道不能有爲) 나라에 도가 없을 때 홀로 선을 하지 못하고 (방무도불능독선 邦無道不能獨善) 다만 록을 먹는 것만 아는 것 모두가 수치스런 것이다 (이단지식록, 개가치야 而但知食祿, 皆可恥也). 원헌은 굳센 의지가 있으니 나라에 도가 없으면 록을 먹는 것은 수치로 알았으나 나라에 도가 있어도 록을 먹는 것이 수치임을 반드시 알지는 못하였다 (헌지견개, 기어방무도곡지가치, 고지지의, 지어방유도곡지가치, 즉미필지야 憲之狷介, 其於邦無道穀之可恥, 固知之矣, 至於邦有道穀之可恥, 則未必知也). 극은 이기기를 좋아하는 것 (극, 호승 克, 好勝), 벌은 스스로 자긍하는 것 (벌, 자긍 伐, 自矜), 원은 분하고 한스러운 것 (원, 분한 怨, 忿恨), 욕은 탐욕이다 (욕, 탐욕 欲, 貪欲).
(註3) 원헌은 공자의 가재를 지낸 제자이며 안회와 같이 공자의 제자 중 가장 빈한하게 살았던 제자이다. 공자가 대사구를 지낼 때 원헌을 가재로 썼는데 원헌은 공자가 주는 녹곡을 받지 않았다. 네가 안 쓸려면 네 이웃과 나누어라 하는 공자의 나무람을 들을 정도였으니 그야말로 단사표음이 어울리는 제자이다. 장자의 기록에는 공자 사후 은둔하던 원헌을 자공이 찾아가 만나서 둘이 대화를 나누는 일이 기록되어 있다. 위나라 재상이 된 자공이 네 필의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가벼운 갖옷을 입고 원헌을 찾았더니 아주 후미지고 거친 산야에 살고 있었다. 얼마나 남루했던지 갓은 종이로 만들었는데 바로 쓴다고 만지면 끈이 떨어지고 옷깃을 툭 치니 팔꿈치가 드러나고 신발은 발꿈치가 터져 있었다. 푸성귀와 풀뿌리를 캐어먹고 남루한 기색을 보고 자공이 ‘어허 어찌 병이 들었소?’하고 물으니 원헌은 까칠하게 대답하였다. ‘내가 듣기를 재물이 없는 것은 가난이지만 배우고도 능히 행하지 못하는 것을 병이라 하니, 내가 가난한 것이요 병이 든 것이 아니오. 세상에 명예를 구하려 출사하고 두루 널리 친한 벗을 만들어 붕당을 지고 배워서는 남을 위한다고 하고, 가르쳐서 자신을 위한다고 하며, 인의를 속이고 마차나 꾸미는 그런 일을 나는 차마 할 수가 없소이다.’ 자공이 이 말을 듣고 심히 부끄러워 했다고 한다. 성공한 제자였던 자공은 공자학단 전체를 항상 지원하였으니 원헌을 도우려 갔을 테지만 까칠한 얘기에 머쓱하게 돌아섰을 것이다. 이후 유가의 선비로 은둔하거나 가난한 사람들은 모두 원헌의 일을 거론하였다. 고려말의 원천석이 개국 조선을 등지면서 원헌을 자처하였고 조선 시대 벼슬을 사양하고 사림에 은둔한 선비들이 너도 나도 원헌을 자처하였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論語) - 제14편 헌문(憲問): 인자필유용 용자불필유인 #3 (0) | 2022.11.14 |
---|---|
논어 (論語) - 제14편 헌문(憲問): 방유도 위언위행 방무도 위행언손 #2 (1) | 2022.11.13 |
논어 (論語) - 제13편 자로 (子路): 이불교민전 시위기지 #18 (0) | 2022.11.11 |
논어 (論語) - 제13편 자로 (子路): 강의목눌 근인 #17 (1) | 2022.11.10 |
논어 (論語) - 제13편 자로 (子路): 군자태이불교 소인교이불태 #17 (1) | 2022.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