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논어 (論語) - 태사공 사마천의 공자세가(孔子世家), #21

몽그림 2022. 5. 3. 00:54

子語魯大, 其可知作翕, 之純,

공자어노대사   악기가지야     시작흡여   종지순여

공자가 노나라 태사에게 말했다. '음악은 가히 알 수 있다시작할 때는 오음이 조화롭고다음은 순하게 조화하고,

 

皦如, , 以成.

교여  역여야    이성 

또 어울려 끊어지지 않고다음은 끊어지는 듯 여운이 남아서 노래가 완성된다.

 

自衛反, 後樂, 頌各得其.

오자위반노   연휴락정    아송각득기소

내가 위에서 노나라로 돌아온 후 음악이 바르게 되고, 아와 송이 제 자리를 찾았다.'

 

 

者詩三千餘, 至孔, , 可施於禮,

고자시삼천여편    급지공자   거기중   취가시어례의  

옛날 시가 삼천여 편이었는데공자에 이르러 중복된 것은 빼고예의에 부합한 것만 취하였다.

 

采契后, 述殷周之, 幽厲之, 於衽,

삼채설후직   중술은주지성    지유려지결   시어임석 

위로는 설과 후직에 관한 것과 중간에는 은과 주나라의 융성한 시기의 것과 유왕과 여왕의 실정에 관한 것까지 이르렀다시작은 남녀 부부간의 감정을 포함한 것이었다.

 

故曰, 雎之亂以為風, 鹿鳴為小雅, 王為大雅, 廟為頌.

고왈   관저지란이위풍시    녹명위소아시    문왕위대아시   청묘위송시

고로 말하길 관저로 풍을 시작하였고녹명을 소아로 시작하고문왕을 대아에서 시작하였고, 청묘로 송을 시작하였다.

 

百五篇孔子皆弦歌, 求合韶武雅頌之.

삼백오편공자개현가지     이구합소무아송지음

삼백오 편을 공자가 비파를 켜며 불러 소송의 음악에 부합하게 하였다.

 

樂自此可得而, 備王, .

예악자차가득이술    이비왕도   성육예

예악은 이로부터  편술되었고, 왕도가 구비되고 육예가 완성되었다

 

() ① 시경은 주초부터 춘추 초기 까지의 시 삼천여 수를 공자가 311편으로 간추려 정리 하였다. 그 중 6편은 이름만 전해진다시경은 풍(風), 아(雅), 송(頌)으로 나뉜다. 풍은 각 제후국에서 전해오던 민간의 노래이며, 아는 대아, 소아로 구분되고 공식 예악행사에 쓰는 의식가이며, 송은 제사때 쓰는 악시이다.

 

 

孔子晚而喜易, 序彖, , , 說卦, 文言.

공자만이희역   서단   계  상   설괘  문언

공자가 만년에 주역에 심취하여 단, , , 설괘, 문언을 서술했다.

 

讀易, 韋編三絕.

독역   위편삼절

역경을 읽었는데 책을 엮은 가죽 끈이 세 번 끊어졌다.

 

, 假我數年, 若是, 我於易則彬彬矣.

왈   가아수년  약시   아오역즉빈빈의 

'만약 내가 몇 년을 더 산다면 주역을 더욱 충실히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위편삼절은 책을 묶은 가죽끈이 세 번 떨어진 것이다. 엄청난 독서량을 의미한다.

 

 

子以詩書禮樂, 子蓋三千, 通六藝者七十有二.

공자이시서례악교     제자개삼천언   신통육예자칠십유이인

공자가 시, 서, 예, 악을 가르쳤다제자가 대략 삼천이었고 육예에 통달한 사람이 칠십이 명이었다.

 

顏濁鄒之, 受業者甚.

여안탁추지도    파수업자심중 

안탁추와 같이 육예에 대한 가르침을 받고도 통달하지 못한 제자들도 많았다

 

 

子以四. , , , .

공자이사교   문  행  충  신

공자가 네 가지를 가르치니 문, , , 신이다.

 

絕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절사   무의  무필   무고   무아 

네 가지는 끊도록 하였는데 무의무필무고무아이다.

 

所慎. , , .

소신   제  전   질

신중하게 할 바는 제, , 질 이다.

 

罕言利與命與, 憤不, 一隅不以三隅, 弗復.

공한언리여명여인    불분불계   거일우불 이삼우반   즉불복야

공자는 리와 명과 인은 드물게 말했다. 발분하지 않으면 깨우치지 않았고, 하나를 가르치면 셋을 알려고 하지 않으면 다시 반복해 가르치지 않았다.

 

() ① 무의는 독단적 의사, 반드시라는 편벽, 고루함, 자신을 내세우는 것을 하지 않는것을 말한다.

, , 질은 제사를 할 때 목욕재계하는 것, 전쟁과 질병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