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婦有別
부부유별
夫婦 二姓之合. 生民之始 萬福之原 行媒議婚 納幣親迎者 厚其別也.
부부 이성지합 생민지시 만복지원 행매의혼 납폐친영자 후기별야
부부는 두 성씨가 합쳐지는 것이며 백성을 만드는 시초이며 만복의 근원이다. 중매를 하여 혼인을 의론하고 납폐와 친영을 하니 그 구별을 제대로 하여야 한다.
是故 娶妻 不娶同姓 爲宮室 辨內外 男子 居外而不言內 婦人 居內而不言外.
시고 취처 불취동성 위궁실 변내외 남자 거외이불언내 부인 거내이불언외
이런고로 아내를 취할 때 동성을 취하지 말고, 가정을 꾸미면 안과 밖의 일을 구별하여 한다. 남자는 밖에 거처하고 집안의 일을 말하지 말고, 부인은 안에 머물고 바깥 일을 말하지 말아야 한다.
(註) 媒(중매 매), 議(의론할 의), 幣(비단 폐), 迎(맞을 영), 厚(두터울 후), 娶(장가들 취), 姓(성 성), 辨(분별할 변)
苟能莊以之 以體乾健之道 柔以正之 以承坤順之義 則家道正矣
구능장이지 이체건건지도 유이정지 이승곤순지의 즉가도정의
만약 능히 건장하게 몸으로 남편의 도리를 다하고 바르것으로 부드럽게 아내의 의리를 다하면 곧 가정의 도리가 바르게 된다.
反是 而夫不能專制 御之不以其道 婦乘其夫 事之不以其義 昧三從之道 有七去之惡 則家道索矣.
반시 이부불능전제 어지불이기도 부승기부 사지불이기의 매삼종지도 유칠거지악 즉가도색의
이와 반대로 지아비가 그런 도리로 제어하여 다스리지 못하고 아내가 자아비를 능멸하고 아내의 도의로 섬기지 못하거나 삼종의 도리도 모르고 칠거지악이 있다면 곧 집안의 도리는 어그러진다.
(註) 乾(하늘 건), 健(굳셀 건), 柔(부드러울 유), 坤(땅 곤), 承(이을 승), 專(오로지 전), 御(어거할 어), 昧(새벽 매), 索(찾을 색)
須是 夫敬其身 以帥其婦 婦敬其身 以乘其夫 內外和順 父母 其安樂之矣.
수시 부경기신 이수기부 부경기신 이승기부 내외화순 부모 기안락지의
이러므로 지아비는 그 몸을 바르게 하고 그 아내를 이끌고, 아내는 그 몸을 바르게 하여 지아비의 뜻을 따르면 내외는 화목하고 부모는 이로써 편안해지느니라.
(註) 須(모름지기 수), 帥(장수 수), 乘(탈 승)
昔者 郤缺 耨 其妻 饁之 敬 相待如賓 夫婦之道 當如是也.
석자 극결 누 기처 염지 경 상대여빈 부부지도 당여시야.
옛날에 극결이라는 사람이 밭을 매고, 그의 아내가 밥을 내어와서는 서로 손님을 맞듯이 공경하였다. 부부의 도리는 이와 같다.
子思曰, 君子之道 造端乎夫婦.
자사왈, 군자지도 조단호부부
자사가 말하길 군자의 도리는 부부로부터 시작된다고 하였다.
(註) 郤(틈 극), 缺(이지러질 결), 耨(김맬 누), 饁(들밥 염), 賓(손 빈), 造(지을 조), 端(단정할 단), 待(기다릴 대)
부부는 억 겁의 인연으로 만난다. 그 인연의 소중함은 사람이 함부로 인위적으로 판단하고 재단할 일이 아니다. 부부의 연으로 맺어지기 위해서는 수많은 조건이 합치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하늘이 작은 생물을 내실 때에도 수십 가지의 조건이 맞지 않으면 생육할 수가 없다. 예컨대 진흙에서 선인장이 나서 자라기 어렵고, 모래밭에서 연꽃이 나서 자라기 어렵다. 소나무 밑에서 볼 수 있는 송이버섯은 인공적인 물질이 닿는 곳에서는 나고 자라지 않는다.
부부간의 인연이 생성되는 것도 이와 같다. 같은 시기에 만나지 않으면 맺어질 수 없고, 서로가 마음이 맞지 않으면 사랑이 움틀 수 없고, 부모가 울타리가 되지 않으면 그 사랑은 열매를 맺지 못한다. 이런 표면적인 조건 이외에 알 수 없는 수천 가지의 이유는 오히려 더욱 많다. 그 만큼 쉬운 듯 해도 인간사에서 가장 어렵고 확률이 적은 것이 부부로 맺어지는 인연이다. 부부로 맺어지고 나서 가꾸지 않으면 시들게 되는 것이 이치이니 반드시 서로가 사랑하며 맺어진 인연을 잊지 말고 잘 가꾸어야 한다.
'동몽선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몽선습 독해 - 붕우유신 (0) | 2022.01.31 |
---|---|
동몽선습 독해 - 장유유서 (0) | 2022.01.30 |
동몽선습 독해 - 군신유의 (0) | 2022.01.28 |
동몽선습 독해 - 부자유친 (0) | 2022.01.27 |
동몽선습 독해 - 서론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