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구 - 다섯자의 한시 대구

추구(抽句)- 오언 대구 (五言 對句)의 초학 한문 (初學 漢文)

몽그림 2021. 12. 8. 02:51

옛날 서당에서 천자문이나 사자소학을 익히고 나면 초학의 학동들이 이를 배웠다. 편찬의 체재를 살펴보면 짜임새가 그리 뛰어나지는 않지만 해와 달을 비롯한 자연의 현상과 학문을 권장하고 인격을 수양하는 명구들을 뽑아 편찬한 것이다.

 

우리에게는 안중근 의사가 여순형무소에서 옥사하기 전에 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 [일일불독서하면 구중생형극이니라,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라는 유작을 남겼는데, 이 말은 추구에 나오는 구절이다. 안중근이 서당에서 공부할 때 이 추구를 공부하였다.

 

추구의 뜻은 뽑을 추(抽) 글귀 구(句) 합성한 것으로 좋은 구절을 뽑아서 모은 것이라는 뜻이다.  추구(推句)라고 쓰기도 하지만 추구(抽句)가 맞다추구를 공부해보면 한문의 표현방법이라든지 한시의 기본을 이해할 수 있다.  자연과 인륜에 대한 도리에 대한 글귀도 많지만 명문장가의 한시 구절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추구는 저자가 미상이고 그 편찬 체계가 허술하다고 폄하되어 천자문이나 사자소학에 비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내용을 보면 상당히 가치가 높은 것이 많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현대에서 우리가 한문을 배우고 이해하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추구는 천자문에서 글자를 배우고 사자소학에서 기본 유학의 느낌과 단어와 사자성어를 익히고 난 다음 배우게 되는 한문 구절로 구성한 것이다. 추구는 유명한 한시의 구절을 발췌하여 편찬하였으므로 이 구절 자체를 외우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추구를 자세히 읽어보고 나면 한문을 이해하는데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고, 시적인 표현의 묘미를 느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

'추구 - 다섯자의 한시 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구 #4  (0) 2021.12.14
추구 #3  (0) 2021.12.13
추구 #2  (0) 2021.12.11
추구 #1  (0) 2021.12.10
추구에서는 한문의 기본 구절을 익히고 배워라!  (0) 20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