曲禮曰, 共食不飽, 共飯不澤手,
곡례왈 공식불포 공반불택수
곡례에서 이르기를, 다른 사람과 함께 음식을 먹을 때는 배부르게 먹지 말아야 하며 손을 적시지 말아야 한다.
毋摶飯, 毋放飯,
무단반 무방반
밥을 뭉치지 말고, 밥 숟가락을 크게 뜨지 말아야 한다.
毋流歠, 毋咤食,
무류철 무타식
물 마시듯이 들이 마시지 말고 음식에 허겁지겁 하지 말아야 한다.
毋齧骨, 毋反魚肉, 毋投與狗骨, 毋固獲,
무설골 무반어육 무투여구골 무고획
뼈를 깨물어 먹지 말고 먹던 생선과 고기를 그릇에 놓지 말고, 뼈를 개에게 던져주지 말고,먹고 싶은 것을 굳이 먹으려 들지 말아야 하며,
毋揚飯, 飯黍毋以箸,
무양반 반서무이저
밥을 식히기 위해 들추지 말고, 기장밥을 먹을 때 젓가락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毋嚃羹, 毋絮羹, 毋刺齒, 毋歠醢.
무탑갱 무서갱 무자치 무철해
국은 국물만 마시지 말고, 국에 따로이 간을 맞추지 말고, 이를 쑤시지 말고, 젓국을 마시지 말아야 한다.
客絮羹, 主人辭不能亨, 客歠醢, 主人辭以窶.
객서갱 주인사불능형 객철해 주인사이구
손님이 국에 간을 맞추면 주인은 잘 끓이지 못하였음을 사과하고, 손님이 젓국을 마시면 주인은 가난하여 맛나게 잘 만들지 못하였다고 사과하여야 한다.
濡肉齒決, 乾肉不齒決, 毋嘬炙.
유육치결 건육불치결 무최자
젖은 고기는 이빨로 끊고, 마른 고기는 이빨로 끊지 않으며, 구운 고기를 한 입에 넣지 않는다 라고 하였다.
(註1) 飽(배부를 포), 澤(가릴 택), 摶(뭉칠 단), 歠(들이마실 철), 咤(꾸짖을 타), 齧(물 설), 黍(기장 서), 羹(국 갱), 絮(솜 서), 刺(찌를 자), 醢(육장 해), 窶(가난할 구), 濡(적실 유), 嘬(물 최), 炙(구울 자), 摶飯(단반-밥을 많이 먹으려고 뭉치는 것), 放飯(방반-밥숟가락을 크게 뜨는 것), 流歠 (류철-물마시듯이 마시는 것), 齧骨(설골-뼈를 씹는 것), 毋嚃羹(무탑갱-국에 나물이 있으니 마시지 말고 젓가락으로 먹으라는 것), 毋絮羹(무서갱-국에 조미를 하지 말라는 것), 毋刺齒 (무자치-이빨을 쑤시지 말라는 것), 毋歠醢 (무철해-젓국을 마시지 말라는 것), 毋嘬炙 (무최자-군 고기를 한 입에 먹지 말라는 것)
'소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학(小學) 경신제삼(敬身第三) #40 (2) | 2024.05.28 |
---|---|
소학(小學) 경신제삼(敬身第三) #39 (0) | 2024.05.27 |
소학(小學) 경신제삼(敬身第三) #37 (0) | 2024.05.25 |
소학(小學) 경신제삼(敬身第三) #36 (0) | 2024.05.24 |
소학(小學) 경신제삼(敬身第三) #35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