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소학(小學) 입교제일(立敎第一) #7

몽그림 2023. 6. 15. 02:18

周禮大司徒以鄕三物敎萬民而賓興之.

    대사도이향삼물    교만민이빈흥지

주례에서는 대사도가 마을을 다스릴 때 세 가지 방법으로써 만민을 가르치게 하고,귀한 손님처럼 대접하여 일으켜 모범이 되게 하였다.

 

一曰,  六德仁聖義忠和.

    덕   지인성의충화

첫째를 일러 육덕이라 하는데 지,,,,,화이다.

 

二曰六行孝友睦婣任恤.

이왈    육행   효우목인임

둘째를 일러 육행으로 효,,,,,휼이다.

 

三曰,  六藝,  樂射御書數.

       예악사어서수

셋째를 일러 육예라 하는데,,,,,수이다.

 

以鄕八刑,  糾萬民.

   

마을의 여덟 가지 형벌로 만민을 단속하였으니,

 

一曰,  不孝之刑.  不睦之刑三曰不婣之刑四曰不弟之刑.

      왈    불목지형    삼왈    불인지형   사왈   불제지형

첫째 불효에 대한 형벌이고둘째 친족간 화목하지 않은 것이며셋째는 타성인 인척간 친애하지 않은데 대한 형이고,넷째는 공손하지 않은 행위에 대한 형벌이고

 

五曰任之刑六曰不恤之刑七曰造言之刑八曰之刑.

    불임지형   육왈    불지형    칠왈    조언지형    팔왈   란민지형

다섯째 벗 사이에 믿음이 없는 행위에 대한 형벌이며, 여섯째는 가난한 사람을 구휼하지 않는 데 대한 형벌이고,일곱째는 없는 말을 지어내는 데 대한 형벌이며,여덟째 백성을 어지럽히는 데 대한 형벌이다.

 

(1) (손 빈), (화목할 목), (혼인 인), (구휼할 ), (꼴 규), (지을 조), (아우 제=悌공경할 제)

 

(2) 주례는 주나라 왕실의 관직제도와 전국시대의 각 제후국의 제도를 기록한 책으로 주관(周官) 또는 주관경(周官經) 원래의 책이름이었다주나라 주공 단이 지었다고 하지만 한나라의 유흠이 지었다는 이설도 있다. 예기(禮記), 의례(儀禮)와 함께 삼례로 불리고, 당나라 이후, 유교 십삼경(十三經) 하나에 포함되었다책의 체계는 천지춘하추동(天地春夏秋冬)의 육상(六象)에 직제를 천관(天官), 지관(地官), 춘관(春官), 하관(夏官), 추관(秋官), 동관(冬官)의 여섯으로 나누고 그 아래에 관직과 직무를 서술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육덕(六德)에서 지는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며, 인은 어진 마음, 성은 모든 사물에 통하는 성스러운 마음, 의는 결단하는 의리, 충은 충성스런 마음, 화는 다른 것과 조화하는 능력을 말한다육행(六行) 효도하는 효, 형제간의 우애, 목은 친척과 화목하는, 인은 인척과의 하목함, 임은 벗간의 신의를, 휼은 불우한 사람에 대한 연민의 정으로 구조하는 것을 말한다육예(六藝) 예절(禮)음악(樂), 활쏘기(射) 수레몰기(御), 글쓰기(書), 셈하기(數) 말한다육예는 공부하는 선비가 반드시 배워서 갖추어야 할 예능이었다그리고 여덟 가지 형벌로 백성들을 규율하였는데부모에 대한 불효와 친족간에 화목하지 않은 불화 그리고 처가,외가를 비롯한 인척간에 화목하지 않은 것, 윗사람에게 공손하지 못한 하극상과 같은 행위와 벗에게 신의가 없는 행위,가난한 사람을 구휼하지 않는 행위와 말을 꾸미거나 조작하는 행위, 백성을 혹세무민하여 어지럽게 하는 행위에 해당하는 여덟 가지를 형벌로 다스렸다이 글에서는 백성을 육덕과 육례,육행으로 교화하고 한편으로는 불효 등에 관한 반사회적인 범죄행위에 대해서는 처벌함으로써 사회를 유지하는 근간으로 삼는다는 것이다이러한 주례의 근간은 후대에 전해져 대부분 사회규범으로 자리 잡았고 우리나라에서 백제의 육좌평, 조선의 육판서와 같은 제도에 반영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