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

논어 (論語) - 제9편 자한 (子罕): 군자거지 하루지유 #9

몽그림 2022. 9. 7. 02:45

貢曰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  求善賈而沽諸

자공왈    유미옥어사   온독이장제   구선가이고제

자공이 여기 아름다운 옥이 있다면 궤에 넣어 감추어 보관하시겠습니까? 좋은 값으로 장사꾼에게 파시렵니까?’라고 묻자,

 

子曰沽之哉  沽之哉  我待賈者也

자왈   고지재   고지재   아대가자야

공자께서 대답하시기를 팔아야지! 팔고말고! 나는 살 사람을 기다리고 있다.’라고  하셨다.

 

(1) (감출 온), (궤 독), (출 장), (모두 제,김치 저,무릇,여러,만약..한다면), (값 가), (팔 고)

 

(2) 온은 감추어 보관하는 것 (온, 장야 , 藏也), 독은 상자를 말하며 (독, 궤야 , 匱也), 고는 파는 것이다 (고, 매야 , 賣也). 자공은 공자가 도가 있으면서 벼슬을 하지 않으므로 두 가지 일을 단정하여 물었던 것이다 (자공이공자유도불사, 고설차이단이문야 貢以孔子有道不仕, 故設此二端以問也). 공자는 물론 팔아야 하지만 당연히 팔리기를 기다려야지 그것을 구해서는 안된다고 한 것이다 (공자언고당매지, 단당대가, 이부당구지이 子言固當賣之, 但當待賈, 而不當求之耳).

 

(3) 자공은 제자 단목사(端木賜)이다. 언변이 좋고 외교적인 수완이 뛰어났다. 위나라 사람으로 공자 사후에 위나라와 노나라의 재상을 지냈다자공은 공자 자신이 능력이 있으면서 벼슬을 하지 않는 것을 물었던 것인데, 제자 중에서도 벼슬에 올라 국가경영에 참여코자 하는 제자는 많았다. 안연과 증삼, 증자, 원헌등은 벼슬하기를 사양한 사람들이었다.

 

 

子欲居九夷  陋如之何

자욕거구이   혹왈   누여지하

공자가 구이에 가서 살고 싶다고 하자 사람들이 누추한 곳에 어찌 사시겠습니까?’라고 물었다.

 

,  子居之  何陋之有

자왈    군자거지   하지유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군자가 거기에 사는데 어찌 누추하다 하리요?’라고 하셨다.

 

(1) (오랑캐 이), (좁을 누)

 

(2) 구이는 동방의 오랑캐를 말하고 아홉 종족이 있다 (구이, 동방지이, 유구종 九夷, 東方之夷, 有九).군자가 그곳에 가면 교화 시킬 수 있다 (군자소거즉화 君子所居則化). 후한지 동이전에 아홉 종족의 동이가 있는데 견이, 어이, 방이, 황이, 백이, 적이, 현이, 풍이, 양이가 있다 (동이전운, 이유구종, 왈 견이, 어이, 방이, 황이, 백이, 적이, 현이, 풍이, 양이 傳云, 有九種, 曰 畎, 於夷, 方夷, 黃夷, 白夷, 赤夷, 玄夷, 風夷, 陽夷). 또 다른 설로는 현도, 낙랑, 고려, 만식, 부유, 삭가, 동도, 왜인, 천비라고도 한다 (우일왈현도, 이왈낙랑, 삼왈고려, 사왈만식, 오왈부유, 육왈삭가, 칠왈동도, 팔왈왜인, 구왈천비 一曰玄, 曰樂, 曰高, 曰滿, 曰鳧, 曰索, 曰東, 曰倭, 曰天).

 

(3) 구이에서 於夷대신에 于夷로 쓰기도 한다중국은 북흉노, 서융, 동이, 팔남만 (北匈奴, 西戎, 東夷, 八南蠻)으로 중화 이외의 종족을 불렀다. 중국 중심적 세계관임은 물론이다그러나 군자거지(君子居之)의 해석은 생각이 필요하다. 군자가 그곳에 산다고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군자가 거기에 살고 있는데 어찌 누추하다고 하느냐 라는 해석이 된다. 그리고 동이가 사는 동방의 나라는 군자가 살고 도가 있는 나라로 해석이 되는 것이다. 또한 논어에 나오는 대련 소련의 효를 칭송한 것과 동이족인 순임금의 덕을 흠모하는 것을 보면 무리한 해석도 아니다공자 당시의 동북 아시아의 정세를 보면 황하 부근의 중화 문명권이 서북지역의 훈족과 고조선이 있던 둥북 지역을 지배한 것도 아니고 사실상 우위에 서 있었던 것도 아니다이는 오랑캐라는 중국적인 해석에만 근거한 것일 뿐이다논어에는 이외에도 고조선과 관련한 기록이 여러 군데서 나타난다. 이러한 시각을 단순한 국수적인 시각이라고 폄훼할 하등의 이유 또한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