哀公問 弟子孰爲好學?
애공문 제자숙위호학
애공이 제자 중에 ‘누가 가장 배움을 좋아합니까?’라고 묻자,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遷怒 不貳過 不幸短命死矣.
공자대왈 유안회자호학 불천노 불이과 불행단명사의
공자께서 대답하시기를‘안회가 배우는 것을 좋아하였습니다. 화가 나는 일을 옮기지 않았고 실수는 두 번 되풀이 하지 않았습니다. 불행히도 단명하여 죽었습니다.
今也則亡 未聞好學者也
금야즉무 미문호학자야
지금은 그런 사람이 없습니다. 아직 배움을 좋아한다는 사람을 들어보지 못했습니다.’라고 하셨다.
(註1) 哀(슬플 애), 孰(누구 숙), 遷(옮길 천), 貳(두 이), 幸(다행 행)
(註2) 안회의 덕을 칭찬한 것이다 (칭안회지덕 稱顏回之德). 천(遷)은 화난 것을 옮기는 것이다 (이야 移也). 보통 사람들은 정에 의해 기뻐하고 성내는 것을 이치에 맞지 않게 하지만 (범인임정, 희노위리 凡人任情, 喜怒違理), 안회는 도에 의해 화를 내지 않고 옮기지도 않았고 (안회임도, 노불과분이당기리, 불이역, 불천로야 顏回任道, 怒不過分而當其理, 不移易, 不遷怒也), 허물이 있으면 고치고 (인개유과탄개 人皆有過憚改), 선이 아닌 것은 아마도 알거나 알고난 후에는 두 번 실수하지 않았다 (안회유불선, 미상부지, 지지, 미상복행, 불이과야 顏回有不善, 未嚐不知, 知之, 未嚐複行, 不貳過也).
(註3) 공자가 안회를 평가한 것을 보면 거의가 안회의 배움이나 덕행 그리고 배움을 이해한 것에 대해 경탄하고 칭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수 천명의 제자 중에 유독 안회에 대한 공자의 평가는 제자에 대한 사랑 그 이상의 것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안회가 죽었을 때 아버지처럼 해주지 못하는 것을 슬퍼하고 통곡한 공자의 태도를 보면 안회에 대한 공자의 기대와 애지중지한 제자 사랑을 느낄 수 있다.
子華使於齊, 冉子爲其母請粟,
자화사어제 염자위기모청속
자화가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자, 염자가 그의 모친에게 곡식을 줄 것을 청하였다.
子曰 與之釜. 請益, 曰與之庾. 冉子與之粟五秉.
자왈 여지부 청익 왈여지유 염자여지속오병
공자께서 ‘일 부를 주거라.’고 하자, 더주기를 청하였다. 다시 공자가 ‘일 유를 주거라.’고 하셨다. 염자가 곡식 오 병을 주었다.
子曰 赤之適齊也, 乘肥馬, 衣輕裘.
자왈 적지적제야 승비마 의경구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적이 제나라에 갈 때 살찐 말을 타고 가벼운 가죽 옷을 입고 갔거늘,
吾聞之也, 君子周急不繼富.
오문지야 군자주급불계부
군자는 위급한 사람을 구하는 것이지 부유한 사람에게 보태주는 것이 아니라고 나는 들었느니라.’라고 하셨다.
(註1) 冉(늘어질 염), 粟(조 속), 釜(가마 부), 庾(곳집 유), 秉(잡을 병), 適(맞을 적), 肥(살찔 비), 輕(가벼울 경), 裘(갖옷 구), 急(급할 급), 繼(이을 계)
(註2) 자화는 공자의 제자로 공서적(公西赤)의 자이다. 공서적은 공문 칠십이현(七十二賢) 중 한 명이다. 4되 6말을 '부'라고 한다 (육두사승왈부 六鬥四升曰釜). 열여섯 말을 '유'라고 한다 (십육두왈유 十六鬥曰庾). 열여섯 괵(섬)을 '병'이라 한다 (십육곡왈병, 오병합위팔십곡 十六斛曰秉, 五秉合為八十斛).
(註3)고대의 부피를 재는 단위는 여러 가지로 전해진다. 정확한 부피는 알 수 없다. 염구가 왜 공서적의 어머니에게 이리 많은 곡식을 주었을까?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면서 목숨을 내어 놓고 잘만한 상황이었다면 모르겠지만 공자는 부유한 사람을 위해 재물을 더하는 것을 경계하셨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論語) - 제6편 옹야(雍也): 기심삼월불위인 #4 (0) | 2022.07.18 |
---|---|
논어 (論語) - 제6편 옹야(雍也): 리우지자 성차각 수욕물용 산천기사제 #3 (0) | 2022.07.17 |
논어 (論語) - 제6편 옹야(雍也): 거경이행간 이림기민 #1 (0) | 2022.07.15 |
논어 (論語) - 제5편 공야장(公冶長): 오미견능견기과이내자송자야 #17 (0) | 2022.07.14 |
논어 (論語) - 제5편 공야장(公冶長): 노자안지 붕우신지 소자회지 #16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