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유仲由 ┃仲由字子路,卞人也, 少孔子九歳. 子路性鄙, 好勇力, 志伉直
자(字)는 자로(子路) 또는 계로(季路)이며 공자보다 아홉 살 연하다. 성격이 용맹스럽고 의지가 강직하여 공자의 걱정을 많이 들었다. 위나라 왕위싸움에서 휘말려 비참히 최후를 마쳤다. 자로는 공자의 제자 중 공자에게 화를 내기도 하고 공자를 추궁하기도 한 제자이다. 그가 비참하게 죽어 젓갈에 담가지자 공자는 즐기던 젓갈을 전부 쏟아버릴 정도로 슬퍼하였다. 문묘(文廟)에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배향되었다.
┃언언言偃 ┃吳人字子游 少孔子四十五歲
자(字)는 자유(子遊), 공자보다 45세 연하이고 오(吳)나라 사람이다.문학과 예악에 뛰어나, 이십 중반에 노나라 무성읍의 읍재(邑宰)가 되었고 성실하고 명민한 수재였다. 공자 사후 학파를 형성하고 분파 하였다. 문묘에 공문십철의 한 사람으로 배향되었다.
┃복상卜商 ┃字子夏 少孔子四十四歲 晉人溫地,教於西河之上,魏文侯師事之,而諮國政焉.
자(字)는 자하(子夏), 공자보다 44세 연하이고 위(魏)나라 사람이다. 문학과 시에 능했으며 성격은 소극적이다. 공자가 편찬한 경전과 연구서적을 재해석하고 후세에 전하여 공자학문을 발전시켰다. 공자 사후 공자의 학문을 계승한 사람으로 자하와 함께 자장,자유를 크게 평가한다. 자하는 공자 사후 위문후(魏文侯)의 스승이 되어 예를 가르쳤고 이극, 오기등 많은 제자를 길렀다. 자하는 아들을 굶겨 죽이고 너무 슬퍼한 나머지 눈이 멀었다고 한다. 자하는 공자의 제자중 자신의 학파를 형성하고 가장 많은 제자를 길러낸 사람으로 그의 제자 중 서문표는 공자의 이상을 실천한 사례로 소개된다. 문묘에 공문십철의 한 사람으로 배향되었다.
┃유약有若 ┃有若少孔子三十六歳, 為人強識,好古道也
자(字)는 자유(子有), 공자보다 36세 연하이고, 공자와 닮았다고 한다. 유자(有子)로도 불린다. 공자 사후 공자학단의 후계자로 추대되기도 하였다. 논어의 저술에 많이 참여하였다.
┃증삼曾參 ┃曾參,南武城人,字子輿, 少孔子四十六歳. 孔子以為能通孝道
자(字)는 자여(子輿), 공자보다 46세 연하이며,공자의 학문을 후세에 전한 가장 중요한 제자로 꼽힌다. 대학을 저술하였고 유자(有子)와 더불어 증자(曾子)로 불린다. 증자의 아버지인 증점(曾點)도 공자의 제자였으며, 공자의 말씀을 잘 이해하여 다른 문인들에게 설명하기도 하였고,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에게 학문을 전수하였다. 그의 학문은 자사를 통해 맹자(孟子)로 이어졌다.
┃전손사顚孫師 ┃顓孫師, 陳人, 字子張. 少孔子四十八歳
자(字)는 자장(子張), 공자보다 48세 아래이며 진(陳)나라 사람. 용모가 수려하고 너그러우며 교제의 폭이 매우 넓었다고 한다.배우는 데 적극적이었으나 인의의 실천에 힘쓰지 않아 공자에게 지적을 받았고 이기적이어서 공자의 문인들이 벗으로 교제하지 않았다고 한다.
┃번수樊須 ┃樊須字子遅. 少孔子三十六歳, 弱仕於季氏
자(字)는 자지(子遲),공자보다 36세 아래이고, 말을 잘 몰고 엉뚱한 질문으로 공자에게서 소인으로 평을 들었다.
┃공서적公西赤 ┃公西赤字子華. 少孔子四十二歳
자(字)는 자화(子華), 공자보다 42세 연하이고 예절에 익숙하며 엄숙하니 조정에서 일할 만 하다고 평가 받았다.
┃남궁도南宮韜 ┃南宮括字子容, 孔子以兄子妻之
자(字)는 자용(子容), 공자의 조카사위. 의리가 있고 어질어 공자가 능히 어진 일을 할 사람으로 평하였다. 남궁괄과 동일인이다.
┃원헌原憲 ┃原憲字子思, 少孔子三十六歲.清凈守節,貧而樂道
자(字)는 자사(子思) 또는 원사(原思). 공자보다 36세 연하로 송(宋)나라 사람. 담백하고 절개가 굳었다. 가난해도 도를 즐겼으며 공자가 사구가 되자 가신이 되었고 공자 사후에 위나라에서 은거하였다. 위나라의 재상이 되어 방문한 자공이 가난한 원헌에게 병이 든 것이 아니냐고 걱정하자 오히려 자공을 힐난하였다.
┃복부제宓不齊 ┃宓不斉字子賎. 少孔子三十歳, 仕為單父宰,有才智
자(字)는 자천(子賤). 공자보다 30세 연하로 재주가 있고 어질어서 백성들이 사랑하였고 공자도 선하게 여겼다.
┃칠조개漆雕開 ┃漆彫開字子開. 孔子使開仕 (蔡人字子若 少孔子十一歲)
자(字)는 자약子若 공자보다 11세 연하. 채나라 사람. 학문에 힘쓰고 벼슬을 사양하였다.
┃고시高柴 ┃高柴字子羔 少孔子三十歲, 仕為武城宰
자(字)는 자고(子羔), 공자보다 30세 연하이고 제(齊)나라 사람. 효성이 지극하고 행동에 법도가 있었지만 공자에게 어리석다는 평을 들었다. 자로가 위나라 정변에서 죽을 때 자고는 몸을 피하였다.
┃담대멸명澹臺滅明 ┃武城人字子羽 少孔子三十九歲, 有君子之姿
자(字)는 자우(子羽), 공자보다 49세 연하. 백성들을 위하고 청렴하였으며, 윗사람에게 아첨하지 않고 아랫사람을 도와 공정하고 사욕이 없었다고 한다.
┃공야장公冶長 ┃齊人字子長, 為人能忍恥,孔子以女妻之
자(字)는 자장子長, 능히 부끄러움을 참았으며, 공자의 사위. 감옥에 갖혔으나 죄가 없음을 공자가 확언하고 사위로 삼았다.
┃증점曾蒧 ┃曾蒧字皙 (曾點字子皙 曾參之父)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에게 배웠다. 자(字)는 자석(子晳). 공자보다 열두 살 연하로 진취적인 광인(狂人)으로 소개되었다. 아들 증삼에게 매를 때리고, 계손씨의 상가에서 노래를 부르는 기행을 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사마경司馬耕 ┃司馬黎耕字子牛 牛多言而躁,兄桓魋惡行 常憂
자(字)는 자우(子牛). 송나라 사람. 조급하고 언변이 능란했다. 공자를 죽이려고 한 환추(桓魋)의 동생이다.
┃무마시巫馬施 ┃巫馬施字子旗 少孔子三十歲
자(字)는 자기(子期). 공자보다 30세 연하로 진나라 사람.
┃안무요顔無繇┃顏無繇字路 路者 顏回父
자(字)는 로(路),계로(季路),안유(顔由). 공자보다 6세 연하로 안회(顔回)의 아버지이며 공자의 초기 제자이다.
┃공석애公晳哀 ┃字 季次,季沉, 孔子特嘆貴之
공자는 많은 사람들이 도를 지키지 않고 선비들의 대부의 가신으로 벼슬을 하지만 계차는 지조를 지키는 선비라고 하였다.
┃상구商瞿 ┃魯人字子木 少孔子二十九歲, 特好易,孔子傳之誌焉
공자가 주역을 전수해 준 제자이다.
┃공백료公伯繚 ┃公伯繚字子周
계손씨에게 자로를 비방하였다. 공자는 공백료가 천명을 모르는 자라고 하였다.
┃양전梁鱣 ┃字叔魚 少孔子三十九歲, 年三十未有子,欲出其妻
제(齊)나라 사람이다.
┃안행顏幸 ┃字子柳 少孔子四十六歲
┃염유冉孺 ┃字子魚 少孔子五十歲
┃조휼曹卹 ┃字子循 少孔子五十歲
┃백건伯虔 ┃字子析 少孔子五十歲
┃공손룡公孫龍 ┃字子石 少孔子五十三歲
┃염계冉季 ┃字子產
┃공조구자公祖句茲 ┃字子之,또는 公祖玆
┃진조秦祖 ┃字子南 (秦人)
┃칠조치漆雕哆 ┃字子斂
┃안각顏刻 ┃字子驕,또는 顔高,少孔子五十歲,衛에서 공자 수레를 몰다.
┃칠조도부漆雕徒父 ┃家語字固
┃양사적壤駟赤 ┃字子徒,秦人
┃상택商澤 ┃字子季
┃석작촉石作蜀 ┃字子明,또는 石子蜀
┃임불제任不齊 ┃字選,楚人 字子選
┃공량유公良孺 ┃字子正,陳人,賢而有勇
진(陳)나라에 머물다 위나라로 돌아가던 중 포성(蒲城)에서 공자를 가로막자 죽기를 두려워 하지 않고 싸웠다.
┃후처后處 ┃字子里, 齊人
┃진유秦冉 ┃字開
┃공하수公夏首 ┃字乘
┃해용잠奚容箴 ┃字子皙,衛人,또는 奚箴
┃공견정公肩定 ┃字子中,魯人或曰晉人,또는 公肩
┃안조顏祖 ┃字襄
┃교단鄡單 ┃字子家,一云鄔單
┃구정강句井疆┃衛人
┃한부흑罕父黑 ┃字子索 (가어에는 宰父黑)
┃진상秦商 ┃字子丕,不慈, 少孔子四歲,그 의 父 음보가 숙량흘의 친구다.
┃신당申黨 ┃ 字周(申績字子周 家語)
┃안지복顏之僕 ┃字叔,子叔
┃영기榮旂 ┃字子祈(榮祈字子顏)
┃현성縣成 ┃字子祺
┃좌인영左人郢 ┃字行
┃연급燕伋 ┃字思
┃정국鄭國 ┃字子徒
┃진비秦非 ┃字子之
┃시지상施之常 ┃字子恆。
┃안쾌顏噲 ┃字子聲
┃보숙승步叔乘 ┃字子車 ,齊人
┃원항적原亢籍 ┃名亢字籍
┃악해樂欬 ┃字子聲
┃염결廉絜 ┃字庸 또는 子曺(衛人)
┃숙중회叔仲會┃字子期(晉人), 少孔子五十歲, 노나라 사람이라고도 함.
┃안하顏何 ┃字冉
┃적흑狄黑 ┃字皙
┃방손邦巽 ┃字子斂
┃공충孔忠 ┃孔子兄之子, 孔弗
┃공서여公西輿如┃字子上
┃공서침公西葴 ┃字子尙
┃임방林放 ┃
자(字)는 자구子丘. 논어에는 나오지만 중니제자열전에는 공자의 제자로 나오지 않는다. 제자가 아니라는 설도 있다.
┃진항陣亢 ┃
자(字)는 자금子禽. 공자보다 40세 연하. 위나라 사람으로 자공의 제자라고도 한다.
┃금뢰琴牢 ┃
자(字)는 자개(子開) 또는 장(張). 위나라 사람. 제자열전에 없다.
┃등선자登仙者 ┃
공자의 유일한 여제자로 알려졌고 자허원군(紫虛元君)으로 불린다. 그러나 도교에서 여자 선인(仙人)을 원군이라 칭하는 것이고 등선자가 송대의 사람이라고 밝혀져 신빙성이 없다.
위에 적시한 77명이 알려진 공자학단(孔子學團)의 제자들이고 이에 대한 기록은 사기열전과 공자가어를 중심으로 찾아본 것이다. 문묘에 공자와 함께 배향된 사성(四聖)은 제자 중에는 안회(顔回)와 증자(曾子) 그리고 후대의 맹자(孟子)와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이다. 문묘의 배향된 제자를 찾아 살펴본 것은 이들이 공문의 유학을 완성하는데 역할을 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사기열전에는 공자가 제자를 평하여,
孔子曰 受業身通者七十有七人, 皆異能之士也
공자왈 수업신통자 칠십유칠인 개리능지사야
德行 顏淵 閔子騫 冉伯牛 仲弓, 政事 冉有 季路,
덕행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 정사 염유 계로
言語 宰我 子貢, 文學 子游 子夏,
언어 재아 자공 문학 자유 자하
師也辟, 參也魯, 柴也愚, 由也喭,
사야벽 삼야노 시야우 유야언
回也屢, 空賜不受命 而貨殖焉, 億則屢中
회야루 공사불수명 이화식언 억즉루중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즉 공자는 자신의 학문을 전수한 제자를 칠십칠인으로 얘기하고, 모두가 색다른 재능을 가진 인사들이라고 하였다. 그 중에서도 덕행(德行)에서는 안연, 민자건, 염백우, 중궁을, 정사(政事)에서는 염유와 계로, 언어(言語)에서는 재여와 자공, 문학(文學)에서는 자유와 자하를 꼽았다. 자장(子張)은 문재가 뛰어났지만 정상적이지 않고 치우쳤으며 (사벽, 邪辟), 증자(曾子)는 둔하고, 자고(子羔)는 어리석고 고지식하다고 하였다. 자로(子路)는 거칠고, 안회(顔回)는 가난했으며, 자공(子貢)은 말을 잘 듣지 않고 재물을 모아 집이 부유했다라고 평했다.
공자의 학문이 동양 사상 특히 유가의 원류가 된 데에는 많은 제자들의 힘이 절대적이었음은 분명하다. 공자의 제자들을 평하는데 후세의 사람들이 함부로 평가해서는 안된다. 공자가 제자들을 평가하고 꾸지는 것은 스승된 사람의 입장에서 할 수 있는 일이겠으나 현재의 우리가 함부로 제자들을 평가하는 것은 조심하고 삼가하는 것이 옳은 일이다. 공자가 말한 대로 그들은 다른 방면으로 다양한 재능을 가진 그 시대의 지식인들이었다. 그들 중에서 자로와 염백우등 공자의 아우뻘되는 제자인 선진군(先進群)들과 증자, 자공, 자유와 같이 아들뻘 되는 후진군(後進群)을 합쳐 제자(弟子)라고 한다. 논어는 공자의 제자들 중 후진(後進)의 제자들이 편찬한 책이다. 따라서 요절한 안회와 공자가 가장 의지했던 자로, 운명이라며 울부짖게 만든 염백우, 효행을 칭찬했던 민자건보다, 후진의 증자(曾子)와 유자(有子)의 흔적이 더 강열하다. 심지어 증자(曾子)와 유자(有子)는 자신들의 어록도 공자와 동등하게 논어에 수록하고 있다. 그럼에도 자로(子路)와 염백우 같은 선진의 제자들을 살펴보는 것은 공자의 학문이 가다듬어 지는 시기에 공자의 곁을 지키고 영향을 준 제자들이기 때문이다.
공자의 제자들은 제후의 사부가 되어 학파를 이끌었던 자하(子夏)와 공문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킨 증자, 현실정치에 몸을 담아 정치를 행한 염구와 자로, 학문과 덕행이 뚸어난 안회와 민자건, 그리고 외교와 이재에 까지 성공한 자공(子貢)등 동 시대의 걸출한 인재들이 많이 있다. 공자의 제자들에 대해 논어와 공자세가, 중니제자열전 및 공자가어에 나오는 제자들을 비교하면 이름과 자(字)가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이들을 정리하기란 어렵고, 여러 경로를 통해 공자의 제자로 언급되는 사람들도 있다. 여제자로 알려진 등선자의 경우는 공자가어에도 나오지 않아 진위여부가 불투명하다.
이외에도 위에 열거한 사람 중 일부와 함께 공자가어에는 설방(薛邦, 字子從), 석처(石處, 字裏之), 현단(懸亶, 字子象), 좌영(左郢, 字子行), 안쾌(顏噲, 字子聲), 원도(原桃, 字子籍), 진비(秦非, 字子之), 칠조종(漆雕從, 字子文), 보숙승(步叔乘, 字子車), 규선(邽選, 字子飲), 시지상(施之常, 字子常), 안지부(顏之仆, 字子叔), 현성(懸成, 字子橫), 안상(顏相, 字子襄)을 포함한 72명이 제자로서 승당입실(升堂入室)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결국 공자는 현실정치를 개혁하고 그의 포부를 실현하지는 못하였지만 그러나 그는 위대한 사상가와 교육자로서는 불멸의 성공을 거둔 셈이다. 논어가 유학(儒學)의 시원(始原)이 되는 경서(經書)이지만 공자의 생애와 그가 살았던 환경을 함께 생각하면서 읽어야 한다. 그리고 공자가 그 시대를 뛰어넘어 주창하고 싶었던 가치는 무엇일까를 생각해봐야 한다.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 (論語) - 논어 원문(論語 原文)과 해석(解釋), 들어가며.. (0) | 2022.05.11 |
---|---|
논어 (論語) - 공자년표 (孔子年表) (0) | 2022.05.10 |
논어 (論語) - 공자(孔子)와 그의 제자(弟子)들, #1 (0) | 2022.05.07 |
논어 (論語) - 태사공 사마천의 공자세가(孔子世家), #25 (0) | 2022.05.06 |
논어 (論語) - 태사공 사마천의 공자세가(孔子世家), #24 (0) |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