虎豹犀象之屬(호표서상지속)은 在於山(재어산)하고
牛馬鷄犬之物(우마계견지물)은 畜於家(축어가)하니
牛以耕墾(우이경간)이요 馬以乘載(마이승재)요,
犬以守夜(견이수야)요 鷄以司晨(계이사신)이요
犀取其角(서취기각)이요 象取其牙(상취기아)요
虎豹(호표)는 取其皮(취기피)니라
호랑이 표범 무소 코끼리는 산에 있고,
소 말 닭 개는 집에서 기른다.
소는 밭 갈고 개간하며 말은 타거나 짐을 싣고,
개는 밤에 지키고 닭은 새벽을 맡도록 한다.
무소에서 뿔을 얻고 코끼리에서 상아를 얻고
호랑이와 표범에서 가죽을 얻는다.
(註) 虎(범 호), 豹(표범 표), 犀(무소 서), 象(코끼리 상), 畜(가축 축), 耕(밭갈 경), 墾(밭갈 간), 乘(탈 승), 載(실을 재), 守(지킬 수), 司(맡을 사), 晨(새벽 신), 牙(어금니 아)
山林(산림)에 多不畜之禽獸(다부축지금수)하고
川澤(천역)에 多無益之蟲魚(다무익지충어)라
故(고)로 人以力殺(인이력살)하고 人以智取(인이지취)하여
或用其毛羽骨角(혹용기모우골각)하고 或供於祭祀賓客飮食之間(혹공어제사빈객음식지간)이니라
산과 숲에는 기를 수 없는 새와 짐승이 많고,
냇물과 연못에는 무익한 벌레와 물고기가 많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힘으로 죽이고, 사람들이 지혜로 취해서
간혹 그것들의 털과 깃, 뼈와 뿔을 이용하고, 혹은 제사와 손님에게 접대하거나 음식으로 제공되기도 한다.
반응형
'계몽편 - 종합학습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몽편 - 물편(物篇) - #5 (0) | 2022.01.15 |
---|---|
계몽편 - 물편(物篇) - #4 (0) | 2022.01.14 |
계몽편 - 물편(物篇) - #2 (0) | 2022.01.12 |
계몽편 - 물편(物篇) - #1 (0) | 2022.01.11 |
계몽편 - 지편(地篇) #5 (0) | 2022.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