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
소학(小學) 명륜제이(明倫第二) #42
몽그림
2023. 8. 23. 08:14
論語曰, 君賜食, 必正席先嘗之.
논어왈 군사식 필정석선상지
논어에 이르기를, 군주가 음식을 하사하면 반드시 좌석을 바르게 하여 맛을 보셨고,
君賜腥, 必熟而薦之. 君賜生, 必畜之.
군사성 필숙이천지 군사생 필축지
군주가 날고기를 하사하면 반드시 익혀서 먼저 조상의 영전에 제물로 바쳤고 군주가 산 짐승을 하사하면 반드시 길렀다..
(註1) 嘗(맛볼 상), 腥(비릴 성), 熟(익을 숙), 薦(천거할 천)
侍食於君, 君祭, 先飯.
시식어군 군제 선반
군주의 옆에서 식사를 할 때는 군주가 감사의 제례를 올릴 때 먼저 시식을 하셨다.
疾君視之, 東首, 加朝服拖紳.
질군시지 동수 가조복타신
병에 걸려 누워있을 때, 군주가 병문을 오자, 동쪽으로 머리를 두었고 조복을 덮고 큰 띠를 두르셨다.
(註1) 疾(병 질), 拖(끌 타), 紳(큰띠 신)
(註2) 머리를 동쪽으로 두는 것은 생기를 받으려는 것이다. 병으로 누워 예복을 입고 띠를 두르지 못하지만 또한 평상복으로 임금을 뵐 수 없다. 그래서 몸에 조복을 덮고 큰 띠를 걸쳤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