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문(千字文) -漢文의 入門 (입문)
천자문은 조선시대 한문의 초급 입문서이다. 옛날에는 예닐곱살이 되면 서당에 다니기 시작하고,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천자문이다. 천자문은 5세기경 중국 남조 양나라 무제(武帝)가 유학자인 주흥사(周興嗣)에게 명하여 지어진 책이다. 4구로 된 시어를 250구를 모아 1000자가 되므로 천자문이라고 한다. 천자문은 하룻밤 사이에 이 책을 만든 주홍사가 너무나 노심초사한 나머지 머리가 하얗게 세었다고 하여 '백수문(白首文)'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주흥사가 사언고시에서 차용하여 짓고 왕희지의 글씨를 수집하여 천자문을 완성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늘 천 따지 검을 현 누르 황 ..같이 차음을 달아 한문을 배울 수 있도록 한 한문의 초급 입문서로 여러 번 간행되었다. 그 중에서 한석봉의 서체를 쓴 한석봉 천자문이 유명하고 1752년 영조 28년 홍성원(洪聖源)이 각 구절마다 해석과 주해를 붙여 간행한 주해천자문이 널리 읽혀졌다.
천자문은 4자가 한구를 이루는데 개개의 명문에서 모은 것으로 모든 구절이 명구절이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한문 서체를 배울 수 있도록 명필의 글씨체로 천자문을 써서 서체를 따라 배워 쓰도록 하였다. 천자문은 조선시대 선비들 중에는 집안의 자손들이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교습용이 많았고 여러 판본의 천자문 책이 전해진다.
한문을 배워 사서삼경을 모두 이해한 후에 다시 한번 천자문을 읽어보게 되면 그 의미를 느끼는 것이 사뭇 다르다. 처음에는 한문을 배우고 서체를 익히는 공부를 하게 되지만, 한문의 세계를 이해한 다음 천자문을 읽어보면서 그 구절의 의미를 자신의 세계에서 재해석하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