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편 - 종합학습서

계몽편 - 물편(物篇) - #6

몽그림 2022. 1. 17. 14:12

物之不齊()  乃物之情()이라

故(고) 以尋丈尺寸()으로 度物之長短()하고

以斤兩鍿銖()  稱物之輕重()하고

以斗斛升石()으로 量物之多寡()니라.

 

만물이 같지 않은 것은 바로 만물의 본성이므로

, , , 촌으로 사물의 길고 짧음을 헤아리고,

, , , 수로 사물의 가볍고 무거움을 재고,

, , , 석으로 사물의 많고 적음을 계측한다.

 

() (만물 물), (엄숙할 제), (뜻 정), (찾을 심), (어른 장), (자 척), (마디 촌), (법도 도),(저울눈 치), (무게단위 수), (저울대 칭), (가벼울 경), (말 두),(휘 곡), (되 승), (헤아릴 량), (많을 다), (적을 과)


算計萬物之數() 莫便於九九()하니

所謂九九者() 九九八十一之數()니라.

 

만물의 수를 계산하는 것은 구구셈보다 편한 것이 없다.

이른바 구구셈이라는 것은 九九八十一(9×9=81)의 수이다.

 

() (셈할 산), (셈할 계), (없을 막), 便(편할 편), (셀 수)

 

右(우) 物篇()이라.

 

이상은 물편이다.

반응형